GC녹십자, 美 관계사 큐레보 대상포진 백신 CMO 권리 확보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10-13 09:18:37
  • -
  • +
  • 인쇄
글로벌 시장 진출 본격화…‘아메조스바테인’ 상업 생산 맡는다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GC녹십자가 미국 관계사 큐레보(Curevo Vaccine)와 손잡고 대상포진 백신 ‘아메조스바테인(amezosvatein, 프로젝트명: CRV-101)’의 위탁생산(CMO) 권리를 확보했다. 글로벌 백신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행보다.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큐레보와 아메조스바테인의 상업화 물량 일부를 생산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GC녹십자는 미국 및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제품 생산에 참여하게 된다.
 

▲ GC녹십자, 美 관계사 큐레보 대상포진 백신 CMO 권리 확보

현재 글로벌 대상포진 백신 시장은 GSK의 ‘싱그릭스(Shingrix)’가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2017년 1조 원 수준이던 시장은 싱그릭스 출시 이후 매년 약 20%씩 성장하며 2024년 6조 원 규모로 확대됐다. 싱그릭스의 지난해 매출은 약 5조 원(34억 파운드)에 달하며, 시장 점유율은 90% 이상이다.

이에 큐레보와 GC녹십자는 아메조스바테인을 차세대 대체 백신으로 육성, 글로벌 시장에서 두 자릿수 점유율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아메조스바테인은 싱그릭스와 같은 면역증강제(Adjuvant)가 포함된 재조합 단백질 백신이지만, 합성 면역증강제를 사용해 주사 부위 통증과 전신 반응을 최소화한 것이 강점이다. 회사 측은 “일반 백신 수준의 내약성을 확보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해당 백신은 초기 임상 2상에서 경쟁 약물 대비 비열등성을 입증했으며, 내약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했다. 현재 큐레보는 만 50세 이상 성인 640명을 대상으로 확장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며, 2026년까지 종료한 뒤 바로 임상 3상에 착수할 계획이다.

허은철 GC녹십자 대표는 “이번 계약은 당사의 글로벌 백신 사업 확장과 중장기 성장 동력 확보에 의미 있는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수준의 백신 제조 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컴투스, ‘SWC2025’ 아메리카 컵 RAIGEKI 챔피언 등극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컴투스는 글로벌 e스포츠 대회 ‘서머너즈 워 월드 아레나 챔피언십 2025(이하. SWC2025)’ 아메리카 컵에서 RAIGEKI가 미주 지역의 새로운 챔피언으로 등극했다고 13일 밝혔다. ‘SWC2025’는 ‘서머너즈 워: 천공의 아레나(이하, 서머너즈 워)’ 세계 최강을 선발하는 대회로, 지난 12일 오전 2시(한국 시각 기준)

2

SKT, 자급제 서비스 '에어' 개통 시작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텔레콤은 자급제 전용 디지털 통신 서비스 ‘에어(air)’ 출시를 기념해 풍성한 혜택을 제공한다고 13일 밝혔다. 에어 앱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서비스 가입과 개통도 가능하다. SK텔레콤은 신규 회선 가입 고객 대상으로 6개월 동안 매달 1만9000포인트부터 3만

3

요스타, ‘스텔라 소라’ 20일 글로벌 정식 출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글로벌 게임업체 요스타는 액션 어드벤처 RPG ‘스텔라 소라’를 오는 10월 20일 글로벌 정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스텔라 소라’는 현대와 판타지가 공존하는 ‘노바 대륙’에서 매력적인 미소녀 여행가들과 거대한 미궁 ‘별의 탑’을 탐험하며 숨겨진 수수께끼를 풀어나가는 게임이다. 안드로이드와 iOS, PC에서 글로벌 동시 출시되어 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