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09-14 13:03:21
  • -
  • +
  • 인쇄
"내년 성장률 1.9%…'부동산' 초점 통화정책이 재정 효과 반감 가능성"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경기 심리 회복이 맞물리면서 경기 반전의 흐름이 나타나고, 수출도 예상보다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수출입 화물이 쌓여 있는 신선대부두, 감만부두 [사진=연합뉴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1.9%로, 상반기 전년 대비 2.3% 성장 후 하반기 1.5%로 둔화되는 ‘상고하저’ 패턴을 예상했다. 연구원은 내년도 확장적 재정 운용이 경기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저성장 기조에서 벗어나 정상 성장 수준으로 회귀하려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한국은행이 성장과 물가보다 부동산 시장, 가계부채 관리에 더 무게를 둘 경우 통화정책이 재정정책 효과를 상쇄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 압박 강화나 예상보다 큰 수출 부진은 국내 주력 산업의 투자 위축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부문별로는 민간소비 증가율이 올해 1.3%에서 내년 1.7%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금융 여건 개선과 가처분 소득 증가가 소비 여력을 뒷받침할 것이란 분석이다. 설비투자 증가율은 글로벌 교역 둔화로 올해 1.8%에서 내년 1.5%로 소폭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반면 건설투자는 올해 -7.0%에서 내년 2.6%로 반등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미분양 해소 지연 등 시장 요인에 따라 회복 속도에는 제약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수출은 올해 -0.6%에서 내년 -1.0%로 감소폭이 커지겠지만, 하반기에는 기저효과로 회복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수입은 올해 -1.8%에서 내년 1.1%로 증가 전환할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2.0%에서 내년 1.9%로 완만히 둔화될 전망이다.

 

연구원은 “2026년은 한국 경제가 장기 침체 국면을 벗어나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복귀할 가능성이 높다”며 “내년 상반기까지는 재정정책을 경기 부양에 집중하고, 통화정책도 이에 조화를 이루는 방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기 회복의 기회를 살리기 위해 기업 투자를 적극적으로 확대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지드래곤의 한정판 블록 꽃 ‘818 BLOOM’, 공식 글로벌 사이트 동시 오픈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글로벌 아티스트 지드래곤(G-DRAGON)이 한정판 블록 꽃 ‘818 BLOOM’으로 전 세계에 평화의 메시지를 전한다. 엠트리아이앤씨는 옥스퍼드(OXFORD)와 피스마이너스원(PEACEMINUSONE) 협업으로 제작한 ‘818 BLOOM’의 공식 글로벌 사이트를 해외 주요 국가에서 동시 오픈한다고 16일 밝혔다. 특히 ‘818

2

예스골프, 파크골프채 ‘마에스트로’ 출시…초경량 카본 샤프트-인체공학적 그립 적용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예스골프가 프리미엄 파크골프채 ‘마에스트로(MAESTRO)’를 공식 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마에스트로’는 예스골프의 골프 클럽 제작 노하우를 집약한 제품으로, 519g의 초경량 카본 샤프트를 적용해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가벼운 스윙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경량화와 함께 성능도 놓치지 않았다. 헤드에 집중된 무게중심 설

3

뉴비즈원, '현장관리 전문팀' 신설… "차별화된 전문가 투입으로 아웃소싱 경쟁력 강화"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리테일 아웃소싱 전문기업 ㈜뉴비즈원이 자사 아웃소싱사업본부 내에 '현장관리 전문팀'을 신설하고, 대기업 리테일 현장 전문가를 영업부문에 영입하는 등 조직 개편을 통해 현장 중심의 전문 인력 관리 시스템을 대폭 강화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급변하는 리테일 시장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고객사에 한 차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