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9,200만톤 쏟아지는 폐의류… 섬유업계, ‘자원 재순환’ 신소재 경쟁 본격화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10-01 13:59:16
  • -
  • +
  • 인쇄
'순환형 섬유경제' 모델 앞다퉈 제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패스트패션 확산으로 매년 전 세계에서 9,200만톤의 섬유 폐기물이 발생하지만, 재활용률은 12%, 의류로의 재생률은 1%에도 못 미친다. 환경 부담이 가중되는 가운데, 글로벌 섬유·패션업계가 폐의류를 새로운 원자재로 활용하는 ‘순환형 섬유경제’ 모델을 앞다퉈 제시하고 있다.


독일 친환경 기능성 소재 기업 심파텍스(Sympatex)는 ‘Fiber2Fiber’ 전략을 통해 폐의류에서 폴리에스터를 회수, 고품질 기능성 원단으로 재탄생시키는 기술을 공개했다. 최근 ‘뮌헨 퍼포먼스 데이 2025’에서 선보인 신소재 KYOTO F2F SPRING AS는 화학적 재활용 원사로 만든 3-Layer 라미네이트 소재로 주목받았다. 심파텍스는 2030년까지 전 제품을 100% 재활용 가능한 구조로 전환한다는 목표다.
 

▲ 심파텍스가 폐의류를 활용해 고기능성 원단으로 재탄생하는 기술을 공개했다.

국내 기업 효성티앤씨도 순환형 섬유경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효성티앤씨는 캐나다 루프 인더스트리와 협력해 올 4분기부터 구미공장에서 버려진 의류를 재활용한 ‘리젠 T2T(Textile to Textile)’ 생산을 시작한다. 이는 기존 폐페트병 리사이클을 넘어 의류 자체를 다시 의류로 되살리는 방식으로, 글로벌 친환경 섬유 시장을 선도할 핵심 기술로 꼽힌다.

한편, 코오롱FnC의 업사이클링 브랜드 ‘래;코드(RE;CODE)’는 산업 폐소재의 순환 가능성을 탐구하는 전시 RE; COLLECTIVE: MATERIALS를 개최하며 패션업계 내 자원순환 담론을 확산시켰다. 2012년 출범한 래;코드는 소각되는 이월·재고 의류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글로벌 리사이클 섬유 시장은 현재 23조원 규모로, 연평균 12.5% 성장해 2030년에는 약 75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EU는 폐의류 매립·소각을 금지하는 ‘에코디자인 규정(ESPR)’ 입법화를 추진 중이며, 프랑스 역시 ‘Agec Law’를 통해 위반 기업에 벌금을 부과하는 등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폐의류는 더 이상 환경오염의 상징이 아니라 새로운 원자재 공급원”이라며 “글로벌 순환경제 전환 속에서 한국 기업도 적극적인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위메이드, 위퍼블릭 기반 ‘투명한 나눔’ 사회공헌 프로그램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위메이드는 블록체인 기반 투명사회 플랫폼 ‘위퍼블릭’(Wepublic)을 기반으로 한 사회공헌 프로그램 ‘투명한 나눔’을 12월 31일까지 운영한다고 1일 밝혔다. ‘투명한 나눔’은 사회복지 현장에서 지원이 필요한 현안을 발굴하고, 사회복지 시설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위메이드는 후원의 필요성, 후원 내용의 명확

2

모두투어, 영화 '퍼스트 라이드' 예매권 증정 이벤트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모두투어는 자사 회원 '모두멤버스' 혜택 강화를 위해 올가을 기대작 영화 '퍼스트 라이드' 예매권 증정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 영화 ‘퍼스트 라이드’는 끝을 보는 놈 태정(강하늘), 해맑은 놈 도진(김영광), 잘생긴 놈 연민(차은우), 눈 뜨고 자는 놈 금복(강영석), 사랑스러운 놈 옥심(한선화

3

진심감성, 산업 디자이너 이승연과 협업 ‘디테일 설계’로 완성한 차별화된 옷걸이 공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진심감성은 청년 산업디자이너 이승연과 약 5개월간 협업해 개발한 차별화된 옷걸이를 1일 공개했다. 현재 옷걸이 유통 시장은 유사한 제품이 다수 존재하지만, 진심감성은 리빙 시장의 단순 유통 제품과는 구분되는 독자적 설계를 통해 차별화를 꾀했다. 진심감성 옷걸이 제품은 청년 디자이너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