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부동산 PF 부실채권 비율 1년새 2배 껑충...리스크 심화

오민아 기자 / 기사승인 : 2024-09-25 09:00:47
  • -
  • +
  • 인쇄
김재섭 의원, 부실채권 잔액도 3개월 새 1조 급증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강화에 부실 확대 불가피

[메가경제=오민아 기자] 증권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채권 리스크가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증권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채권 비율이 36%를 넘겨 1년새 2배 가까이 늘었고  부실채권 잔액도 3개월 만에 1조원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 여의도 증권가. [사진=연합뉴스]

 

25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올해 3월 말 증권사의 부동산PF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36.31%였다. 이는 1년 전 작년 3월 말(19.78%)의 2배 수준이다. 전 분기인 작년 말(30.01%) 대비해서도 6%P 증가했다.

 

고정이하여신은 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부실채권을 말한다. 고정이하여신 잔액도 빠르게 늘고 있다.

 

작년 말 1조원에 불과했던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작년 말 2조3000억원으로 늘었고, 올해 3월에는 3조2천억원으로 3개월 만에 9000억원 불어났다.

 

저축은행, 상호금융, 여전 등 다른 금융업권에서도 고정이하여신 잔액과 비율은 늘어나는 추세다. 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작년 말 6000억원에서 올해 3월 1조1000억원으로 고정이하여신 비율도 같은 기간 6.63%에서 12.06%로 각각 2배 가까이 급증했다.

 

같은 기간 캐피탈사의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1조2000억원에서 1조4000억원으로, 비율은 5.08%에서 6.0%로 늘었고 카드사 고정이하여신 잔액과 비율은 900억원에서 1200억원으로, 5.44%에서 6.72%로 증가했다.

 

금융당국의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이 강화된 만큼 2분기 이후 각 업권의 고정이하여신 잔액과 비율,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는 당분간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당국은 지난 5월 사업성 평가 기준을 '양호·보통·유의·부실 우려' 등  4단계로 세분화한 뒤, 금융사들에 엄격해진 사업성 평가 기준에 따라 부동산 PF 사업장을 재평가하도록 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민아 기자
오민아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