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 해외주식 잔고 50조원 돌파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10-14 10:52:09
  • -
  • +
  • 인쇄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미래에셋증권은 10일 기준 해외주식 잔고가 51조8000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해외 증시 호조로 고객들의 투자 수익이 늘어난 영향이다. 해외 주식 잔고 가운데 평가 수익(세전)이 15조원에 달한다. 올해만 해도 8조 원 이상의 고객 수익(세전)이 발생하며 성과를 기반으로 한 해외 자산 증대의 선순환이 이뤄지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연초부터 확대한 글로벌자산배분전략이 수익률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 기술주가 핵심 전략으로 부각되는 등 글로벌 투자 환경이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미래에셋증권은 중국 혁신 기업 비중을 확대했고, 이 전략은 중국 기술주 랠리와 맞물려 고객 수익이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사진=미래에셋증권]

 

홍콩 항셍테크는 연초 이후 44.8% 급등하며 같은 기간 미국 나스닥 상승률 19.2%를 크게 상회했다. 미래에셋증권 고객들이 올해 가장 많이 매매한 중국(홍콩) 상장 종목은 '샤오미, SMIC, 알리바바'등 중국 혁신 기업이며, 이들은 각각 6%, 72%, 24%의 평가차익을 보여주고 있다.(보유고객 매입금액 기준) '중국판 엔비디아'로 불리는 반도체 설계업체 캠브리콘, 혁신 바이오테크 기업 등으로 투자 열기가 확산되고 있다.

 

또한 미래에셋증권은 인공지능(AI) 솔루션과 디지털 자산관리 인프라를 결합해 고객 투자를 지원하고 있다. 최근 도입된 'AI 이슈체크'는 전날 미국 증시에서 2% 이상 변동한 종목 중 공시나 이벤트가 발생한 종목을 자동 선별해 관련 뉴스를 요약 제공한다. 하루 평균 80건의 요약 정보가 생성되며, 모바일 앱 M-STOCK 내 '종목 요약' 화면에서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WM Daily Brief'를 통해 고객의 자산을 관리하는 PB들에게 시장 핵심 이슈, 고객 자산 현황, 리스크 정보 등을 매일 아침 간결하게 제공해 보다 AI 기반의 정교한 자산관리가 가능하도록 돕고 있다.

 

여기에 고객 참여형 플랫폼도 강화했다. 이달 선보인 '해외주식 레벨업' 서비스는 투자 성과 기반의 레벨 체계와 투자 고수들의 포트폴리오 공유 기능을 결합한 소셜 투자 플랫폼이다. 투자자 간 전략 학습과 교류를 통해 단순 거래를 넘어 함께 성장하는 투자 경험을 제공한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해외주식에서의 고객 성과는 미국 중심 투자를 기반으로 중국 혁신기업에 대한 전략적 자산배분과 AI 자산관리 강화가 맞물린 결과"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혁신기업과 성장 시장을 반영한 자산배분 전략을 지속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아키텍트, 21일 사전 다운로드·캐릭터 생성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드림에이지는 ‘아키텍트: 랜드 오브 엑자일(이하, 아키텍트)’의 사전 다운로드와 캐릭터 생성을 오는 21일 오전 11시부터 시작한다고 14일 밝혔다. PC 버전은 구글 플레이 게임즈, 모바일 버전은 구글 플레이 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를 통해 22일까지 진행된다. 캐릭터 사전 생성은 서버 상황에 따라 조기 마감될 수 있다.이용자는

2

스마일게이트, AGF 2025 메인 스폰서 확정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스마일게이트는 오는 12월에 일신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국내 최대의 서브컬처 게임과 애니메이션 축제 ‘Anime X Game Festival 2025(이하 AGF 2025)’에 공식 메인 스폰서로 참가한다고 14일 밝혔다. 스마일게이트는 지난 2023년부터 매년 AGF에 부스를 열고 게임 팬들과 소통해 왔으며, 올해는 메인 스폰서로서

3

철도연, ‘슬라스틱 침목(Slastic Sleeper)’ 연구성 상용화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은 100% 재활용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제철 부산물을 활용해 만든 ‘슬라스틱 침목(Slastic Sleeper)’ 연구성과를 상용화하여, 최근 포스코 포항제철소(본선, 분기기) 와 광양제철소(본선) 현장에 부설했다. ‘슬라스틱 침목’이라는 이름은 플라스틱(Plastic)과 제철 부산물인 제강 슬래그(S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