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외 순환출자구조 규제…공정위 국감 핵심 쟁점화

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10-14 17:15:44
  • -
  • +
  • 인쇄

[메가경제=정호 기자]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첫 국정감사로 열리는 올해 국회 정무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해외계열사 순환출자’ 규제 문제가 핵심 쟁점으로 떠오를지 귀추가 주목된다. 특히 고려아연이 해외 자회사를 동원해 구성한 순환출자 구조에 대해 공정위가 어떤 결론을 내릴지, 그리고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이 이에 대해 “철퇴”를 예고할지 관심이 쏠린다.

 

정무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이번 국감에서 고려아연의 해외 자회사 SMC를 활용한 지배구조 설계가 공정거래법상 순환출자 금지 취지를 우회한 것인지 집중 추궁할 것으로 알려졌다. 공정위는 지난 2월부터 해당 건에 대해 조사 중인 가운데, 위법 여부에 대한 판단도 국정감사를 통해 나올지 주목된다. 

 

▲ <사진=공정거래위원회>

 

주 위원장은 이에 대해 해외계열사를 활용한 구조의 법적 성격을 면밀히 검토 중이며, 사실관계 조사와 법리 검토가 상당 부분 진행됐다는 정도로 답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공정위원장 후보 청문회 당시에도 서면 답변을 통해 “해외계열사를 통한 편법적 지배력 확대 우려에 공감한다”며 제도 정비 필요성을 인정한 바 있다.

 

현행 공정거래법은 순환출자 금지 대상을 국내 계열사로 한정하고 있어, 해외 계열사를 통한 출자는 직접 제재하기 어렵다. 이에 국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김남근·이정문 의원을 중심으로 해외계열사까지 규제 범위를 확대하는 법안이 잇따라 발의된 상태다. 공정위 역시 “입법의 필요성과 취지에는 공감한다”며 “역외적용, 통상마찰, 공시자료 신뢰성 등 현실적 요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공정위는 현재 고려아연 사례를 포함한 대기업집단 해외법인 출자구조 전반에 대한 공시·모니터링 시스템 개선 작업을 병행 중이다. 또한 조사 종료 후에는 제도 개선 방향을 포함한 종합 결과를 공개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이번 국감에서는 공정위의 조사 진행 속도와 제도 개선 의지, 그리고 향후 로드맵이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주 위원장이 “올해 내 결론 도출” 방침을 재확인하고 해외계열사 순환출자에 대한 강경 대응 의지를 밝힌다면, 이는 향후 ‘역외 순환출자’ 규제 강화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

 

경제계에서는 공정위의 판단 결과에 따라 향후 대기업집단의 해외법인 지배구조 설계 및 출자 전략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번 국감은 공정거래위원회가 국내외 계열사 간 경계가 흐려진 지배구조 현실에 어떤 정책적 방향을 제시할지 가늠할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홈앤쇼핑, 중소기업과 '동행' 결실…K-푸드 해외 수출 목표 76% 달성
[메가경제=정호 기자] 홈앤쇼핑이 국내 중소기업들의 K-푸드 글로벌 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4일 홈앤쇼핑에 따르면 수출이 어려운 중소기업의 상품을 발굴해 K-푸드·뷰티 수출을 집중 공략한 결과, 상반기 누적 수출액 47억원을 달성했다. 대만, 사우디, 독일 등 11개국 43개 업체의 250여개 상품이 해외 진출에 성공했으며, 현재까지 목표액 1

2

치킨에 장난질, 원재료 공급 점주에게 전가...교촌, 여야에 질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교촌에프앤비가 국정감사에서 제품의 양을 줄이는 슈링크플레이션 논란 등으로 뭇매를 맞았다.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은 “교촌치킨이 기존 700g 메뉴를 500g으로 줄이고, 닭다리살 100%에서 닭다리살과 닭가슴살을 혼합했다”며 “중량과 품질은 떨어졌지만 가격은 2만3000원으로 동일하다”고 지적했다.

3

김영섭 KT 대표 "소액결제 피해 사과…혁신 나설 것"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김영섭 KT 대표가 국회 국정감사(국감)에서 소액결제 사고 및 해킹 사태와 관련해 다시 한 번 사과했다. 김 대표는 14일 진행된 국회 정무위원회(이하 정무위)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정무위는 이날 김 대표를 포함해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등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그는 "사전 예방조치를 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