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무릎 인공관절 수술 취소 사유 절반 이상이 ‘수술 후 통증에 대한 두려움’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2024년 퇴행성관절염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444만 명으로, 2020년 382만 명보다 약 16% 증가했다.
| ▲ 수술 통증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공관절 수술을 회피하는 경우가 많다. |
퇴행성관절염으로 인한 인공관절 수술은 통증과 변형으로 보행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일상을 되찾아주는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그러나 많은 환자가 ‘수술 후 통증’에 대한 두려움으로 수술을 미루거나 기피하고 있다. 연세사랑병원 자체 조사에 따르면, 인공관절 수술을 예약했다가 취소한 환자 100명 중 절반 이상이 수술 후 통증에 대한 두려움을 이유로 꼽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치료법이 개발돼 왔으며, 최근에는 신경차단술과 고주파 열치료술이 주목받고 있다. 신경차단술은 수술 부위 통증을 전달하는 신경에 약물을 주입해 통증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조기 재활과 입원 기간 단축에 도움을 준다. 다만 효과가 약 2주 내외로 비교적 짧아 장기적인 통증 완화에는 한계가 있다.
이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고주파 열치료술이 활용된다. 고주파 열을 이용해 통증을 전달하는 신경을 변성시키는 방식으로, 약 40~65도의 전기적 열을 가해 통증 전달 신경을 변성시키면 수술 후 통증 완화 효과가 1년 이상 지속된다. 재활 기간 동안 통증 없이 운동이 가능해 수술 결과와 환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시술 시간도 30분 내외로 짧아 당일 시술도 가능하다. 또한 무릎 통증과 관련된 신경만 선택적으로 변성시키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연세사랑병원 인공관절연구팀은 수술 후 통증이 심한 환자에게 먼저 신경차단술을 시행하고, 통증 완화 반응이 있는 환자에게는 고주파 열치료술을 추가로 시행해 통증 완화와 재활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다.
서동석 연세사랑병원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고주파 열을 이용한 신경성형술은 수술 후 통증에 대한 두려움으로 수술을 미루는 환자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며 “충분한 재활과 운동을 통증 없이 이어갈 수 있다는 점에서 환자 만족도가 높다”고 말했다.
고용곤 연세사랑병원 병원장은 “연세사랑병원은 수술 후 통증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왔으며, 앞으로도 환자가 안심하고 수술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