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정보회사 듀오, ‘AI 챗봇과 연애’ 인식 조사 결과 발표

양대선 기자 / 기사승인 : 2025-11-05 11:39:14
  • -
  • +
  • 인쇄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AI 기술이 인간의 일상에 깊숙이 스며들고 있다. 특히 AI 연구기관 ‘오픈AI’의 대형 언어모델 ‘챗GPT’ 등장 이후, 인공지능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고 관계를 조언하는 등 새로운 소통의 주체로 자리 잡았다. 그렇다면 AI 챗봇의 조언은 실제 연애에도 도움이 될까? 

 


결혼정보회사 듀오가 미혼남녀 1000명(남 500명·여 500명)을 대상으로 ‘AI 챗봇과 연애’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4명 중 1명(24%)은 “AI 챗봇이 연애에 도움이 되었다”고 답했다고 5일 밝혔다.

연애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238명(전체 24%)은 주로 ‘연애 중 갈등 관리(55%)’, ‘데이트 코스나 선물 조언(44%)’, ‘감정 조절 및 자기 성찰(43%)’ 등을 꼽았다. 특히 여성은 남성보다 ‘감정 조절·자기 성찰’(52%)과 ‘갈등 관리’(64%) 항목에서 더 높은 비율을 보이며 AI가 감정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데 도움을 주고, 갈등을 보다 원만하게 해결하도록 돕고 있음을 보여줬다.

반면,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답한 400명(전체 40%)에게 이유를 물은 결과, ‘연애·결혼 문제는 사람과의 대화가 필요하다’(34%)가 가장 많았다. 이어 ‘위로는 되지만 실질적 해결은 어렵다’(18%), ‘답변이 일반적이다’(14%) 등의 의견이 뒤를 이었다. 이는 AI 챗봇이 감정의 미묘한 뉘앙스나 상황 맥락을 완벽히 이해하기엔 아직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AI 조언이 사람보다 낫다고 느낀 점으로는 ‘시간이나 상황의 제약이 없다’(28%), ‘객관적이고 해결책 중심이라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다’(20%), ‘비난하지 않아 솔직하게 이야기할 수 있다’(15%), ‘비밀이 지켜져 안심된다’(15%) 등을 선택했다.

그러나 연애 중 AI 챗봇과 연인 중 누구의 의견을 더 신뢰하겠느냐는 질문에는 절반에 가까운 47%가 “연인의 의견을 더 참고하겠다”고 답했지만, ‘상황에 따라 다르다’(42%)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 이는 AI가 아직은 연애 조언의 보조 수단에 머물러 있지만, 이미 일부는 관계 판단의 참고 대상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혼정보업체 듀오 관계자는 “AI 챗봇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사람만이 이해할 수 있는 미묘한 감정의 흐름과 관계의 맥락은 여전히 인간의 영역”이라며 “이런 시대일수록 진정성 있는 대화와 사람 중심의 소통이 더욱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설문조사 업체 마크로밀 엠브레인을 통해 2025년 10월 23~24일 연애 경험이 있는 만 20~39세 미혼남녀 총 1000명(남성 500명·여성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신뢰수준은 95%에 표본오차 ±3.10%p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신기사

1

김승연 한화 회장, 수능 앞둔 임직원 자녀에 합격 기원 선물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둔 그룹 임직원 자녀들에게 합격 기원 다가 세트와 격려 편지를 보냈다. 김 회장은 21년째 매년 같은 행사를 이어오고 있으며, 지금까지 수만 명의 임직원 가족이 선물을 받아왔다. 5일 한화그룹에 따르면 김 회장은 전날 서울 플라자호텔 베이커리 '블랑제리'에서 특별 주문 제

2

블록체인 금융기업 그루핀, 제도권 연계 ‘Stablecoin-as-a-Service’ 구조 발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블록체인 금융 인프라 기업 그루핀(Gurufin)이 규제 친화형 스테이블코인 블록체인 기술 페이퍼를 5일 공개했다. 그루핀은 은행 또는 공인 금융기관이 직접 발행 주체가 되고, 자사 특허 기술을 통해 토큰화·결제·정산을 지원하는 ‘서비스로의 스테이블코인(Stablecoin-as-a-Service)’ 모델을 선보였다. 한국은행은 지난

3

한컴, 1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결정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한글과컴퓨터는 5일 이사회를 열고 주주가치 제고 및 임직원 보상 재원 확보를 위해 1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을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자사주 매입은 변성준, 김연수 각자대표 체제에서 2022년 1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2023년 200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 3개년 배당 정책 발표에 이은 주주 친화 정책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