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 국내 운용사 첫 인도 현지 물류 사업 투자

황동현 / 기사승인 : 2023-01-06 13:48:02
  • -
  • +
  • 인쇄
뭄바이 내 물류 거점 비완디 지역 위치...약 210억원 규모 투자
2022년 준공된 약 2만 8000 m²규모의 대형 물류센터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이 현지에서 물류 사업에 투자한다. 최근 인도에서의 물류 사업은 높은 성장성으로 각광받는 분야로, 인도에 진출한 외국계 자산운용사 현지법인이 직접 투자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은 인도 뭄바이에 위치한 대형 물류센터에 투자한다고 6일 밝혔다. 

 

▲ 비완디 물류센터 전경 [사진=미래에셋자산운용 제공]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약 210억원 규모로 투자하는 이번 물류센터는 2022년 준공된 약 2만 8000 m² 규모의 대형 물류센터로, 인도 뭄바이 내 물류 거점으로 주목받는 비완디 지역에 위치해있다. 비완디는 뭄바이와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유리한 지정학적 특징으로, 현재 삼성, 아마존, BMW, Maersk 등 글로벌 대기업들의 물류센터가 자리잡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해당 물류센터를 독일계 글로벌 물류회사인 레이노스(Rhenus)에 임대한다. 레이노스는 인도 전역에 30개 이상의 물류센터를 보유하고 있는 물류 전문 대기업이다.

이번 투자를 시작으로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향후 뭄바이 등 인도 주요 거점에서의 물류 사업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인도산업정책국 산하 투자유치 전담 정부기관인 ‘인베스트인디아(lnvest India)’에 따르면 인도는 이머커스 시장(E-Commerce)의 빠른 성장과 높은 경제성장에 따른 물류 증가로 인해 물류센터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인도 물류 시장의 90%가 소규모 물류 업체에 의해 운영되는 등 인프라 부족으로 향후 높은 성장성이 기대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 관계자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인도의 높은 경제성장률과 정부의 적극적인 인프라 투자에 따라 미래 성장성이 높은 물류센터와 데이터센터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며 “현지 시장을 가장 잘 이해하는 전문인력들로 구성된 인도법인은 인도 내 주요 자산들을 심도있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06년 인도 현지법인을 설립했다. 금융위기 이후 대부분의 글로벌 자산운용사가 인도 시장에서 철수하거나 합작법인으로 전환했으나, 미래에셋은 인도의 성장성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투자를 지속해오며 현재 인도 내 유일한 독립 외국자본 운용사로 활약 중이다. 2022년 11월말 기준 인도법인 AUM은 21조원 규모로, 인도 내 9위 운용사로 성장했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금투협 후보추천위원회, 제7대 회장 후보자 공모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한국금융투자협회 후보추천위원회는 제7대 금융투자협회장 후보자 공모를 실시한다고 4일 밝혔다. 공모기간은 오는 19일 오전 10시까지이며, 지원 자격 및 제출 서류 등 자세한 사항은 금융투자협회 홈페이지에 게시돼 있다.후보추천위원회는 서류.면접 심사 절차를 거쳐, 최종 후보자를 선정할 예정이다.제7대 금융투자협회 회장은 최종 후보자를

2

원광디지털대, ‘HyperXR 스튜디오’ 완공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원광디지털대학교는 교육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이 추진하는 사이버대학 디지털 교육환경 고도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첨단 교육용 콘텐츠 제작 공간 ‘HyperXR스튜디오’를 완공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전국 사이버대학 중 5개교가 선정된 국가 지원 프로젝트로, 원광디지털대는 ‘실습역량 강화를 위한 OnDigiAI

3

큐로드, ‘게임 올인원 서비스’ 운영 적용 사례 공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큐로드는 오는 11월 13일부터 16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국제 게임 전시회 ‘지스타 2025’ B2B관에서 자사의 ‘게임 올인원 서비스’ 운영 사례를 공개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지스타 2025에서 큐로드는 B2B관 부스(G-801)를 운영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을 핵심 키워드로 게임 올인원 서비스 적용 사례를 설명하고 통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