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투운용 'ACE KRX금현물' 순자산, 올해 들어 325% 증가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10-28 14:09:58
  • -
  • +
  • 인쇄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한국투자신탁운용은 ACE KRX금현물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총액이 올 들어 325% 증가했다고 28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기준 ACE KRX금현물 ETF의 순자산총액이 올해 들어 325.4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ETF의 지난해 말 순자산총액은 1095억원 수준이었으나 전일 4659억원을 기록했다. 최근 1개월 사이에만 1057억원이 늘어나는 등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자료=한국투자신탁운용]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도 이어지고 있다. 이 ETF의 연초 이후 개인 순매수액은 1437억원에 달한다. 또 6월21일부터 개인 순매수 흐름을 파악해보면 9월9일과 10일 단 이틀을 제외하고 총 82거래일 동안 861억원 규모로 개인투자자의 순매수세가 지속됐다. 1개월 개인투자자 순매수액도 399억원으로 집계됐다.

 

수익률도 우수하다. 국내 상장 원자재 ETF 중 레버리지형을 제외한 23개 상품 가운데 6개월, 연초 이후, 1년 기간 모두 수익률 1위를 기록했다. 이 상품은 6개월 수익률은 23.31%이며, 연초 이후와 1년 동안 수익률은 각각 47.81%, 49.39%를 기록했다.

 

이는 금 투자에 쏠리는 투자자의 관심 때문으로 풀이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위원회(Fed)의 금리 인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며 대표적인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으로 평가받는 금 투자에 수요가 몰렸다는 분석이다. 이에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더해져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 움직임이 이어졌고, 최근 금값은 2700달러를 넘기는 최고가를 갱신한 바 있다.

 

ACE KRX금현물 ETF는 2021년 12월 상장한 국내 유일 금현물에 투자하는 ETF다. 기초지수로는 한국거래소가 산출·발표하는 ‘KRX 금현물 지수’를 추종한다. 금 현물형 투자 상품이기에 금 선물형 ETF에 비해 롤오버 비용이 없다는 게 특징이다. 현재 국내 상장 금 관련 ETF 중 유일하게 퇴직연금 계좌에서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다.

 

남용수 한투운용 ETF운용본부장은 "금리 인하 및 지정학적 리스크 등 금융시장 변동성에 대비해 자산 배분 방법으로 투자 포트폴리오 내 안전자산 편입을 생각해볼 수 있는 시기"라며 "글로벌 안전자산으로 평가받는 금에 투자하는 국내 유일 금현물 ETF다. 퇴직연금 계좌에서 70% 한도로 투자가 가능하며 장기 투자시 세액 공제 혜택을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용인공원그룹, 새 디퓨저 ‘아너스센트’ 출시…주말 사전 성묘 캠페인으로 고객 맞이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프리미엄 봉안당 아너스톤을 운영 중인 용인공원그룹이 다가오는 추석을 앞두고 오는 27~28일 주말 '사전 성묘'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추석 연휴 기간 집중되는 방문객으로 인한 혼잡을 줄이고, 유가족들이 더욱 여유롭고 정성스러운 추모 시간을 가질 수 있게 하도록 마련됐다.지난해 추석 연휴 기

2

에듀윌 양형남 회장, 156차 사랑의 쌀 나눔 진행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국민교육기업 에듀윌은 지난 24일, 여수에 위치한 장애인 거주시설 동백원을 방문해 ‘제156차 사랑의 쌀 나눔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26일 밝혔다. 동백원은 중증장애인이 생활하는 거주시설로, 주거 지원은 물론 의료·재활 서비스와 다양한 문화·여가 프로그램을 통해 입주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힘쓰고 있다. 또한 같은 법인에서 운영하

3

놀유니버스, 공연·숙박 결합 Play&Stay 패키지...74개국 고객 확보
[메가경제=정호 기자] 놀유니버스가 공연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Play&Stay’ 여행 패키지로 글로벌 플랫폼 도약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세계적으로 확대되는 K-POP 팬덤과 체류형 관광 수요를 결합하며 K-콘텐츠 산업의 새로운 성장 모델을 제시한다는 전략이다. Play&Stay는 공연 입장권에 숙박과 이동 셔틀 등을 결합한 패키지 상품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