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세계 첫 ‘근육 증가형’ 혁신 비만신약 美 FDA 임상 승인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5-11-06 14:11:47
  • -
  • +
  • 인쇄
지방 감량·근육 증가 동시 구현…‘퍼스트 인 클래스’ 신약 기대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한미약품이 세계 최초로 체중 감량과 근육 증가를 동시에 실현하는 신개념 비만 혁신신약의 임상에 돌입한다.


한미약품은 4일(현지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신약 후보물질 ‘HM17321’(LA-UCN2)의 임상 1상 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건강한 성인과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HM17321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및 약력학적 특성을 평가한다.
 

▲ 한미약품, 세계 첫 ‘근육 증가형’ 혁신 비만신약 美 FDA 임상 승인

HM17321은 기존 GLP-1 기반 비만치료제와 달리 근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지방을 선택적으로 감량하고, 근육량을 오히려 증가시키는 차별화된 기전을 갖춘 ‘퍼스트 인 클래스(First-in-Class)’ 후보물질이다. 기존 인크레틴 계열 치료제들이 체중은 줄이지만 근육 감소 부작용을 피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HM17321은 비만 치료의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

이 후보물질은 GLP-1이나 GIP 수용체가 아닌 CRF2(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2)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타깃하는 UCN2(Urocortin-2) 유사체다. 한미약품 R&D센터는 자체 인공지능(AI) 및 구조 모델링 기술을 적용해 CRF2 수용체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도록 설계했다. 이를 통해 지방 감소·근육 증가·운동 능력 및 대사 기능 개선 효과를 동시에 유도할 수 있다.

HM17321은 피하 주사로 투여가 가능해 기존 항체 기반 근육 보존제보다 편의성이 높고, 인크레틴 계열 비만약과 병용 시에도 동일한 펩타이드 형태로 함께 투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용 효율성과 환자 편의성 모두를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미약품은 HM17321을 자사 비만신약 프로젝트 ‘H.O.P(Hanmi Obesity Pipeline)’의 핵심 파이프라인으로 육성하고 있다. 한미의 H.O.P은 총 6개 파이프라인으로 구성돼 있으며, △GLP-1/GIP/GCG 삼중작용제 HM15275 △에페글레나타이드 등과 함께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을 겨냥한다. HM17321은 영장류 비임상 연구에서 근육량 및 대사 기능 개선 효과를 입증하며, 2031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이다.

최인영 한미약품 R&D센터장(전무)은 “HM17321은 단순히 체중을 줄이는 약이 아니라, 지방 감량과 근육 증가, 대사 기능 개선을 동시에 구현하는 통합적 비만 치료 솔루션”이라며 “한미약품은 비만을 단순 체중 조절이 아닌 대사질환으로 보고, 환자 중심의 맞춤형 치료 패러다임을 열어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원광디지털대, 차 생활지도사 민간자격 검정 시행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원광디지털대학교는 제1회 차(茶)생활지도사 민간자격 필기 및 실기 검정을 실시해 총 60명의 합격자를 배출했다고 6일 밝혔다. 제1회 검정시험에는 본교 재학생과 졸업생을 포함해 총 67명이 응시했으며, 차(茶)문화에 대한 전문성과 실무 역량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필기시험은 △제다(製茶) △차의 성분 △세계 명차 △차 우리기

2

서울사이버대, ‘아시아퍼시픽 오픈배지 어워드’ SILVER 수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서울사이버대학교는 오는 17일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제3회 아시아퍼시픽 오픈배지 어워드(Asia-Pacific Open Badge Award)에서 교육기관 부문 SILVER 상을 수상한다고 6일 밝혔다. 서울사이버대의 이번 수상작은 서울사이버대가 운영 중인 ‘사회서비스 데이터운용’ 디지털배지 프로그램으로, AI와 데이터 기반의 학습

3

하나증권 "롯데관광개발, 3연속 깜짝 실적에도 여전히 저평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하나증권은 롯데관광개발이 올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3연속 실적 서프라이즈를 달성했지만 주가가 여전히 저평가돼 있다고 6일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2만6000원에서 2만9000원으로 올렸다. 롯데관광개발의 올해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867억원, 530억원을 기록하며 사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