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요금제, 좀 더 스마트하게?

조승연 / 기사승인 : 2015-05-11 11:49:52
  • -
  • +
  • 인쇄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데이터 요금제가 ‘데이터 갈증’을 속시원히 해결해줄까? 데이터 요금제가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생활을 좀 더 스마트하게 만들어주게 될까? 데이터 요금제에 따른 손익이야 좀 더 시간이 지나봐야 명확해질테지만 어쨌든 이에 대한 각 통신사들의 과감한 시도는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귀를 솔깃하게 할만하다. 데이터가 천금처럼 여겨지는 시대다(물론 스마트한 휴대폰을 좀 더 스마트하게 이용하는 사람들에 한해서지만). 작은 인터넷 창을 하나 열어보는데서부터 시작해 SNS를 통한 교류, 다양한 동영상 감상까지 데이터 없이는 여간 불편하게 아니다.




오죽하면 와이파이 빵빵 터지는 공간이 사막의 오아시스처럼 반갑게 느껴질 정도일까. KT를 시작으로 각 통신사들도 출시를 서두르고 있다는 데이터 요금제, 이는 지속적인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데이터 갈증을 완벽히 해소해줄 수 있을까. 지인을 졸라 데이터를 선물 받고 심지어는 추가 요금을 내고 데이트를 구입까지 하는 시대다.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쓰자니 요금이 걸리고 적정 요금제를 선택하자니 데이터가 아쉬운 스마트폰 유저들, 이들이 데이터 요금제를 통해 얼마나 톡톡히 혜택을 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KT가 한발 빨랐다. 기존의 음성 위주 요금제에서 데이터 위주 요금제로 전환한 KT의 발빠른 움직임이 누리꾼들의 발길을 바쁘게 했다. 기존의 요금제를 유지한 상태에서 대폭 추가된 데이터 요금제는 특히 데이터 이용량이 많은 젊은 층 유저들을 KT로 끌어당길 전망이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두고 볼 수만은 없다는 입장이다. 이들도 KT 못지않은 데이터 요금제 출시를 서두르고 있다는 게 관계자들의 귀띔이다. 요금제에 따라 아등바등 데이터 양에 온 신경을 집중했던 스마트폰 유저들, 데이터 요금제 출시는 이들을 그간의 데이터 족쇄에서 해방시켜줄 것으로 전망된다.


데이터 요금제가 속속 출시될 것으로 예고되자 누리꾼들은 “자세한 건 데이터 요금제를 직접 사용해봐야 알겠지만 우선은 KT가 머리 잘 쓴 것 같다. 특히 데이터 밀당되는 건 꽤나 획기적인 발상인 듯”, “멀지 않아 데이터 요금제가 보편적으로 자리잡는 날이 오겠지. 그때쯤 되면 데이터 걱정에서 좀 해방되려나. 외출해서 빵빵한 와이파이 존 찾는 것도 고역이다”, “데이터 요금제든 뭐든 통신사가 내놓은 제도에 혹할 필요가 없다. 결국 손해보는 장사 안 하는 게 통신사들이다. 데이터 요금제도 뭔가 허점이 존재할 듯”등 제각각 다른 반응을 보였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승연
조승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하나님의 교회, 동남권 핵심 도시 김해에 새 성전 설립
[메가경제=이준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도시로 도약하는 동남권 경제 허브 김해에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이하 하나님의 교회)가 새로운 성전을 설립했다. 하나님의 교회는 장유동에 설립된 ‘김해율하 하나님의 교회’가 사용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김해율하 하나님의 교회’는 연면적 3423.6㎡에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다. 푸른색 통창으로

2

디시오, 미쓰이물산과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전력반도체 공급 MOU체결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국내 전력반도체 스타트업 디시오(Dicio)가 일본의 대표적인 종합상사인 미쓰이물산(Mitsui & Co.)과 전력반도체 공급을 위한 전략적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디시오가 자체 개발한 실리콘카바이드(SiC) 소자 및 모듈, 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기반 소자·모듈 등 고전

3

펑크비즘, 독자 메인넷 ‘펑크체인’ 공개, RWA 기반 웹3 플랫폼 비전 제시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블록체인 기업 펑크비즘은 자사의 독자 메인넷인 ‘펑크체인’을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 펑크비즘은 이번 AMA를 통해 펑크체인의 기술적 구조와 발전 방향, 실물자산(RWA) 기반 생태계 구축 전략을 처음 공개하며 Web3 플랫폼의 비전을 제시했다. 펑크체인은 단순한 거래형 블록체인을 넘어 실물자산(RWA)과 디지털 경제를 연결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