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김민성 기자] 연말정산 추가환급 때문에 기업 회계 담당자들이 한바탕 난리를 치르게 생겼다. 부산스러운 연말정산 추가환급 소동은 공무원연금 개혁안 본회의 처리가 무산되면서 덩달아 소득세법 개정안 등 동시처리할 예정이던 민생법안이 뒤늦게 처리된데 따른 후폭풍이다.
여야는 당초 이달 6일 국회 본회의를 열어 처리키로 했던 민생법안들을 12일에서야 부라부랴 처리했다. 그 바람에 이달 월급날 연말정산 추가환급금을 나눠줘야 하는 기업들은 촉박한 일정에 맞춰 회계처리 작업을 마쳐야 하는 만큼 밤샘 작업까지 불사해야 할 형편에 놓였다.
![]() |
문제는 그런다고 해서 월급날 이전까지 연말정산 추가환급금 산정 작업이 마무리될 수 있느야 하는데 있다. 더구나 올해 5월달 월급은 대부분 22일로 평소보다 앞당겨지게 되어 있다. 이 점이 더욱 더 연말정산 추가환급 작업을 맡은 회계 담당자들의 마음을 조급하게 만들 것으로 보인다. 이달 월급이 앞당겨지는 이유는 본래의 월급날인 25일이 월요일 공휴일(석탄일)이라는데 있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기업체들은 주말과 공휴일 포함해 열흘도 남지 않은 기간 동안 연말정산 추가환급 산정 작업을 마무리해야 한다.
인력 부족 등으로 부득이 연말정산 추가환급 작업을 마무리하지 못하는 기업의 경우 원칙적으로는 근로자 개개인이 직접 환급신청을 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6월 월급날에 가서야 연말정산 추가환급금이 지급될 것으로 보인다.
연말정산 추가환급 산정 작업이 늦춰질 가능성이 제기되자 누리꾼들은 정치권을 향해 다시 한번 볼멘 소리를 내고 있다. 특히 연말정산 추가환급 작업의 지연을 초래한 직접적 원인이 공무원연금 개혁안 갈등이란 점을 거론하며 공무원연금 개혁 작업에 발목을 잡아온 공무원단체와 야당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이번 연말정산 재정산 혜택을 받을 근로자 수는 약 638만명이 이르고, 이들이 연말정산 재정산으로 돌려받아야 할 총 환급액은 4천560억원(1인 평균 7만1천400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은 "도와주지는 못할 망정 연말정산 추가환급까지 늦춰 이젠 받을 돈 받는 날짜까지 미루는군." "혈세로 공무원들 노후 보장하는 것도 억울한데, 연말정산 추가환급까지 늦추다니" "연말정산 추가환급 늦어진건 결국 공무원들의 이기심 때문임. 공복이 아니라 상전일세" 등의 목소리를 쏟아내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