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평가절하, 훈풍일까?

조승연 / 기사승인 : 2015-08-13 09:30:35
  • -
  • +
  • 인쇄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우리에게 미칠 중국 위안화 평가절하 영향은 어떤 형태로 나타날까? 중국 통화 당국이 11, 12일 연 이틀에 걸쳐 이례적 수준으로 위안화 기준환율을 조절하자 그 여파가 어디까지, 어떤 형태로 이어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은 11일 위완화 기준환율을 달러당 6.2298위안으로 고시한데 이어 12일 이를 다시 6.3306위안으로 고쳤다. 연 이틀간 위안화 가치를 각각 1.86%, 1.62%씩 절하시킨 것이다. 기습적인 두 차례의 위안화 평가절하로 인해 전세계가 환율 전쟁으로 치닫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 당장 발등의 불은 우리에게 미칠 위안화 평가절하 영향이다.


중국 통화당국의 결정이 워낙 전격적이고 기습적으로 이뤄진 만큼 위안화 평가절하 영향에 대한 분석은 조심스럽게 진행되고 있다. 정부 당국도 위안화 평가절하 영향이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고 보고 그 여파에 대한 면밀한 분석에 돌입했다.


중국의 위안화 평가절하 영향으로 가장 먼저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우리의 대중국 수출 감소다. 중국이 위안화 가치를 떨어뜨린 근본적인 목적이 자국의 수출 증대에 있다는 점만 생각하면 위안화 절하 영향이 우리에게 어떻게 미칠지 간단히 이해할 수 있다.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중국의 지난달 수출은 전년 동기에 비해 8.8%나 줄어들었다. 이런 상황이라면 중국이 목표로 삼은 올해 7% 성장도 물거품이 될 공산이 크다. 따라서 이번 위안화 평가절하 조치는 궁지에 몰린 중국이 오로지 수출 증대를 위해 노골적으로 환율전쟁에 뛰어들었음을 보여준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외환 정책을 담당하는 정부 당국은 위안화 평가절하 영향이 우리에게 복합적으로 나타날 것이란 일차 분석을 내놓고 있다. 그로 인해 섣불리 위안화 평가절하 영향을 예단하기보다는 중국 통화 정책의 흐름을 조금 더 지켜보면서 그 여파를 하나하나 따져나간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는 듯하다.


특히 경제에 대한 낙관론을 주로 언급해온 최경환 부총리는 12일 위안화 평가절하 영향이 우리에게 긍정적 방향으로 나타날 가능성을 거론해 눈길을 끌었다. 중국의 이번 위안화 평가절하 조치가 수출 증대에 있는 만큼 중국의 수출이 늘어나면 우리의 대중 수출도 덩달아 늘어난다는게 최 부총리가 내세우는 위안화 평가절하 영향과 관련한 긍정론의 논거다. 이는 중국이 우리나라로부터 중간재를 수입한 뒤 이를 가공해 다시 수출하는 산업 구조를 가졌다는데 기반을 두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승연
조승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하나님의 교회, 동남권 핵심 도시 김해에 새 성전 설립
[메가경제=이준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도시로 도약하는 동남권 경제 허브 김해에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이하 하나님의 교회)가 새로운 성전을 설립했다. 하나님의 교회는 장유동에 설립된 ‘김해율하 하나님의 교회’가 사용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김해율하 하나님의 교회’는 연면적 3423.6㎡에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다. 푸른색 통창으로

2

디시오, 미쓰이물산과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전력반도체 공급 MOU체결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국내 전력반도체 스타트업 디시오(Dicio)가 일본의 대표적인 종합상사인 미쓰이물산(Mitsui & Co.)과 전력반도체 공급을 위한 전략적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디시오가 자체 개발한 실리콘카바이드(SiC) 소자 및 모듈, 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기반 소자·모듈 등 고전

3

펑크비즘, 독자 메인넷 ‘펑크체인’ 공개, RWA 기반 웹3 플랫폼 비전 제시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블록체인 기업 펑크비즘은 자사의 독자 메인넷인 ‘펑크체인’을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 펑크비즘은 이번 AMA를 통해 펑크체인의 기술적 구조와 발전 방향, 실물자산(RWA) 기반 생태계 구축 전략을 처음 공개하며 Web3 플랫폼의 비전을 제시했다. 펑크체인은 단순한 거래형 블록체인을 넘어 실물자산(RWA)과 디지털 경제를 연결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