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두뇌유출, 누굴 탓하랴

김민성 / 기사승인 : 2015-11-26 12:04:25
  • -
  • +
  • 인쇄

[메가경제 김민성 기자] 한국 두뇌유출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수치로 보여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작성해 최근 발표한 '세계인재보고서'가 그 것이다. 이 자료는 조사 대상으로 삼은 61개국 기업의 임원 4천여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벌여 만들어졌다. 그런 만큼 현장의 목소리가 생생히 담긴 현실감 있는 분석 자료라는 평가를 받을 만하다.


눈에 띄는 것은 한국 두뇌유출의 실상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주는 조사 항목이다. 간단히 결론부터 말하면 소위 '두뇌유출 지수'에서 한국은 10점 만점에 3.98을 받아 조사 대상 61개국 중 44위를 차지했다.


이 조사 항목에서는 순위가 높을수록, 지수의 수치가 클수록 두뇌 유출이 적음을 의미한다. 즉, 두뇌 유출이 가장 적으면 1위(지수의 수치는 커짐), 가장 많으면 61위가 된다는 의미다. 한국 두뇌유출 현상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의미다.


두뇌유출 지수가 가장 높은, 다시 말해 두뇌유출이 가장 적은 나라로는 노르웨이가 꼽혔다. 노르웨이의 두뇌유출 지수는 8.27이었다. 기타 주요 비교 대상국의 두뇌유출 지수는 스위스 7.56(2위), 중국 6.29(12위), 일본 4.49(34위) 등이었다. 한국 두뇌유출 지수가 유럽의 선진국은 물론 아시아의 주요 경쟁국들에 비해서도 낮음을 알 수 있다.


한국 두뇌유출이 심각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항목은 근로자의 노동의욕 지수와 순위였다. 이 항목에서 한국은 54위로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한국의 근로의욕 지수는 4.64였다.


근로자의 노동의욕 순위는 한국 두뇌유출 순위와 거의 정비례관계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이 조사 항목 1위는 스위스(지수 7.68)였고 중국과 홍콩은 나란히 7위(지수 7.29)에 올랐다. 인도가 42위(지수 5.35)에 오른 점도 눈길을 끌었다.


반면 두뇌유출이 국가 경쟁력에 미치는 악영향의 순위에서는 한국의 순위가 18위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자랑스럽지 못한 조사 항목에서만 순위가 높게 나타난 셈이다. 이 역시 한국 두뇌유출이 심각함을 보여주는 역설적 자료라 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민성
김민성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하나님의 교회, 동남권 핵심 도시 김해에 새 성전 설립
[메가경제=이준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도시로 도약하는 동남권 경제 허브 김해에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이하 하나님의 교회)가 새로운 성전을 설립했다. 하나님의 교회는 장유동에 설립된 ‘김해율하 하나님의 교회’가 사용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김해율하 하나님의 교회’는 연면적 3423.6㎡에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다. 푸른색 통창으로

2

디시오, 미쓰이물산과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전력반도체 공급 MOU체결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국내 전력반도체 스타트업 디시오(Dicio)가 일본의 대표적인 종합상사인 미쓰이물산(Mitsui & Co.)과 전력반도체 공급을 위한 전략적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디시오가 자체 개발한 실리콘카바이드(SiC) 소자 및 모듈, 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기반 소자·모듈 등 고전

3

펑크비즘, 독자 메인넷 ‘펑크체인’ 공개, RWA 기반 웹3 플랫폼 비전 제시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블록체인 기업 펑크비즘은 자사의 독자 메인넷인 ‘펑크체인’을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 펑크비즘은 이번 AMA를 통해 펑크체인의 기술적 구조와 발전 방향, 실물자산(RWA) 기반 생태계 구축 전략을 처음 공개하며 Web3 플랫폼의 비전을 제시했다. 펑크체인은 단순한 거래형 블록체인을 넘어 실물자산(RWA)과 디지털 경제를 연결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