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신저 시장, 카카오톡 독점체제로

조승연 / 기사승인 : 2015-12-22 16:49:11
  • -
  • +
  • 인쇄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국내 모바일 메신저 시장이 사실상 '카카오톡'의 독점 체제로 굳어진다.


22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등 통신서비스업체들이 카카오톡에 대항하기 위해 내놓은 모바일 메신저 '조인(joyn)'이 내년 2월 서비스를 종료한다.


삼성전자의 메신저서비스 '챗온'도 지난 2월 이미 서비스를 접었기 때문에 카카오톡은 국내 모바일시장에서 명실상부한 독점 사업자로 자리잡게 됐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이달 1일부터 조인 신규 가입을 중단했고, KT는 오는 24일부터 가입자를 받지 않는다. 조인의 정식 서비스 종료 시점은 내년 2월 12일이다. 기존 조인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는 이날 일괄 해지된다.


조인은 지난 2012년 12월 이동통신 3사가 카카오톡 견제를 위해 내놓은 모바일 메신저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가 공식 인증한 표준 규격의 모바일 메신저로도 화제를 모았다.


하지만 조인은 시장에 뒤늦게 진입하는 바람에 카카오톡의 아성을 넘지 못했다. 카카오톡은 2010년부터 서비스를 선보이며 일찌감치 모바일 메신저 시장을 선점했다.


현재 카카오톡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96% 안팎에 이른다. 이에 따라 카카오톡의 독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국정감사에서도 카카오와 네이버의 시장지배 문제가 뜨거운 이슈로 부상했다.


카카오톡은 최근 들어 엄청난 사용자를 기반으로 O2O(Online to Offline·온오프라인 연계)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현재 카카오는 카카오택시에 이어 대리운전업에도 진출할 방침이다. 카카오가 차기 사업으로 퀵서비스, 용역 중개업을 검토한다는 설도 나오고 있다.


지난 10월 6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정재찬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은 "카카오는 점유율로 보면 시장지배적 사업자로 추정된다"며 "불공정 행위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은 만큼 지속적으로 감시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승연
조승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추석 과일 가격 걱정인데...사과·배 도매 가격 '하락' 전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추석을 앞두고 명절 수요가 많은 사과·배 출하가 지난해보다 늘어 도매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사과와 배 출하량이 각각 작년 대비 7% 늘 것으로 예측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추석이 10월 6일로 지난해(9월 17일)보다 20일 가까이 늦어 출하량이 늘었다고 분석

2

신세계그룹, 12년째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이어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그룹이 ‘청년을 위한 인문학 사회공헌 프로젝트, 지식향연’을 12년째 이어가고 있다. 전 국민이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2014년 출범한 지식향연은 일회성 강연에 그치지 않고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인문학 지식나눔, 인문학 콘텐츠 발굴을 목표로 매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식향연 프로젝트를 통해 인문학

3

롯데마트, 민들레학교에 친환경 업사이클링 시설물 기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마트는 지난 5일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구리광장에서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시설물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진주태 롯데마트·슈퍼 준법지원부문장, 김준현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본부장, 이양현 구리남양주민들레학교장을 비롯해 구리시민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전달식은 지난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