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물가 상승률 0.7%로 사상 최저

조승연 / 기사승인 : 2015-12-31 14:34:49
  • -
  • +
  • 인쇄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역대 최저인 0.7%를 기록했다. 31일 통계청은 '소비자물가동향' 발표를 통해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0.7% 상승하는 데 그쳤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6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11년 4.0% 수준이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2년 2.2%, 2013년 1.3%, 2014년 1.3%로 하향곡선을 그리다 0% 대로 떨어졌다. 물가상승률이 0%대를 기록한 것은 외환위기 직후였던 1999년(0.8%) 이후 두번째다.


농산물과 석유류 가격 변동 효과를 제외한 근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2% 상승했다.


지출빈도가 높은 142개 품목을 대상으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0.2% 하락했다.


올해 저물가현상은 지난해 말부터 지속된 국제유가와 원자재가격 하락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전셋값 상승의 영향으로 서비스가격이 1.8% 올랐지만 석유류 가격이 19.0%나 내리면서 상품가격은 오히려 0.7% 하락했다.


공업제품가격은 0.2% 하락했다. 담뱃값 인상의 영향으로 국산담배는 83.7%, 수입담배는 67.5%씩 가격이 올랐다. 가방(+15.0%), 남자정장(+5.1%) 등도 가격이 상승했다. 하지만 저유가로 인한 하방요인이 더 컸다. 휘발유(-17.3%), 경유(-20.5%), LPG(자동차용 -23.4%), 등유(-26.2%) 등의 가격이 크게 떨어졌다.


저유가의 영향을 받아 전기·수도·가스 가격도 7.4% 하락했다. 도시가스료(-15.8%), 전기료(-1.7%), 지역난방비(-0.1%) 등이 하락했고 상수도료는 2.0% 올랐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2.0% 상승했다. 양파(+33.9%), 마늘(+23.3%), 시금치(+20.6%), 쇠고기(국산 +7.3%), 돼지고기(+3.7%) 등의 가격이 올랐다. 포도(-13.1%), 귤(-11.4%), 복숭아(-15.2%), 감(-14.5%), 수박(11.5%), 배(-6.9%) 등 과일류 가격은 하락세를 나타냈다.


서비스가격에 가장 영향을 크게 미친 요인은 집세였다. 전세가격이 3.6%, 월세가격이 0.3%씩 올랐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승연
조승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하나님의 교회, 동남권 핵심 도시 김해에 새 성전 설립
[메가경제=이준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도시로 도약하는 동남권 경제 허브 김해에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이하 하나님의 교회)가 새로운 성전을 설립했다. 하나님의 교회는 장유동에 설립된 ‘김해율하 하나님의 교회’가 사용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김해율하 하나님의 교회’는 연면적 3423.6㎡에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다. 푸른색 통창으로

2

디시오, 미쓰이물산과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전력반도체 공급 MOU체결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국내 전력반도체 스타트업 디시오(Dicio)가 일본의 대표적인 종합상사인 미쓰이물산(Mitsui & Co.)과 전력반도체 공급을 위한 전략적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디시오가 자체 개발한 실리콘카바이드(SiC) 소자 및 모듈, 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기반 소자·모듈 등 고전

3

펑크비즘, 독자 메인넷 ‘펑크체인’ 공개, RWA 기반 웹3 플랫폼 비전 제시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블록체인 기업 펑크비즘은 자사의 독자 메인넷인 ‘펑크체인’을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 펑크비즘은 이번 AMA를 통해 펑크체인의 기술적 구조와 발전 방향, 실물자산(RWA) 기반 생태계 구축 전략을 처음 공개하며 Web3 플랫폼의 비전을 제시했다. 펑크체인은 단순한 거래형 블록체인을 넘어 실물자산(RWA)과 디지털 경제를 연결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