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포커스] 한국 국가경쟁력, 그 정도나마 신기할 뿐

조철민 / 기사승인 : 2016-09-28 15:39:41
  • -
  • +
  • 인쇄

[메가경제 조철민 기자] 국가경쟁력은 한 나라의 미래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는 척도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경쟁력과 현재의 경제적 위상 순위는 다를 수밖에 없다. 전자가 미래 지향형이라면 후자는 현재 진행형이다. 그런 측면에서 한국 국가경쟁력을 해석하자면 한국은 당분간 현상 유지 정도는 근근이 해나갈 수 있는 나라로 볼 수도 있다.


한국 국가경쟁력은 국제사회에서 평가하는 경제력 순위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난다. 세계경제포럼(일명 다보스포럼)이 올해 새로 발표한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한국은 지난해에 이어 연속 26위를 기록했다. 28일 일본 니혼게이자이 신문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한국은 중국보다 2단계 높은 순위를 지켰다.


다보스포럼 발표에서 한국 국가경쟁력은 지난해에도 26위를 마크했다. 그같은 순위는 국제경영개발원이 발표한 순위 25위와 비슷한 것이었다. 국가경쟁력은 발표하는 기관마다 기준이 다소 다르다. 하지만 당시 두 기관이 지적한 한국의 취약점은 대체로 일치했다.


한국 국가경쟁력 평가 과정에서 특히 부정적으로 지목된 요소들은 금융권의 성숙도, 정부 정책 결정의 투명성, 정부 규제, 정부의 비효율성 등이었다. 한국 국가경쟁력 평가는 정부와 공공기관, 민간 분야를 망라한 가운데 이뤄진다. 하지만 결과를 놓고 보면 정부와 공공 부문의 취약성이 한국 국가경쟁력을 저해하는 주 요인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번에 다보스포럼이 발표한 한국 국가경쟁력 순위는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2위) 일본(8위) 홍콩(9위) 타이완(14위) 말레이시아(25위)보다 뒤처지는 것이었다. 기타 아시아와 서남아시아 주요국의 순위는 중국 28위, 인도 39위였다. 인도는 지난해보다 무려 16계단이나 뛰어올라 무서운 속도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나라로 주목받았다.


세계 1위를 8년 연속 차지한 스위스는 12개 평가분야 중 11개 분야에서 1위를 휩쓸었다. 유일하게 1위를 차지하지 못한 분야는 '시장의 규모'였다.


다보스포럼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등 경제관련 국제기구의 통계 자료와 저명한 최고경영자(CEO)들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평가해 매겨진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철민
조철민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