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은행 3일 첫걸음....금융도 유비쿼터스 시대

조승연 / 기사승인 : 2017-04-03 09:35:51
  • -
  • +
  • 인쇄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3일은 국내 은행의 역사에 한 획이 그어지는 날이다. 이 날자로 '케이뱅크'라는 국내 1호 인터넷 전문은행이 탄생하기 때문이다. 케이뱅크의 두드러진 특징은 점포가 한 개도 없다는 점이다. 당당히 제1금융권의 7번째 시중은행으로 출범하지만 일체의 오프라인 업무는 배제한 채 오직 인터넷만으로 모든 업무를 진행한다.


점포가 없어 대면업무가 생략되다 보니 은행으로서는 인건비와 점포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 대신 소비자는 돈을 맡긴 뒤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고, 보다 저렴한 이자로 대출을 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인터넷은행이 성공 사례로 자리하게 되면 기존 은행들도 경쟁력 유지를 위해 서비스 개선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란 기대가 나타나고 있다.


인터넷은행의 모든 서비스는 하나의 앱(케이뱅크 앱)과 웹(www.kbanknow.com)만으로 이뤄진다. 영업시간이 따로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니다. 모든 서비스의 24시간 이용이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말해 스마트폰 하나만 들고 다니면 언제 어디서든 은행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가히 은행 서비스의 유비쿼터스 시대가 열린다고 할 수 있다.


케이뱅크의 주요 상품엔 예적금과 대출, 체크카드 등이 있다. 기존 은행권에서 다루는 웬만한 상품은 모두 취급한다. 대신 예적금 금리는 상대적으로 높고, 대출 금리는 그 반대다. 일례로 코드K 정기예금의 경우 연간 최고금리가 2.00%다. 시중은행에서는 정기예금 금리가 2%대인 상품을 찾아볼 수 없다.


대출의 경우 직장인K 신용대출은 연간 금리가 최저 2.73%로 책정돼 있다. 앱을 내려받은 뒤 상담원과의 전화통화, 신분증 촬영, 지문인증 등의 간단한 절차를 거쳐 만들 수 있는 마이너스 통장 서비스인 미니K 마이너스통장의 경우 적용 금리가 연 5.5%다.


소비자들이 인터넷은행 이용시 누릴 수 있는 또 다른 이익은 웬만한 서비스 이용에는 수수료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용이 편리하다는 점 역시 인터넷은행의 큰 매력으로 느껴질 수 있다. 공인인증서 없이 가입과 접속이 가능하다는 점, 24시간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 심사가 비대면으로 이뤄진다는 점 등등이 인터넷은행이 제공할 대표적 편리성들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승연
조승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