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미국서 버라이즌-삼성전자와 함께 5G 국제망 시연 성공

이필원 / 기사승인 : 2018-02-07 11:09:14
  • -
  • +
  • 인쇄

[메가경제 이필원 기자] KT가 미국을 대표하는 통신 기업인 버라이즌과 현지에서 국제망 시연을 하는 등 5G 선도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KT는 4일(현지시간) 버라이즌, 삼성전자와 함께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US뱅크 스타디움에서 열리는 미국 최대 스포츠 이벤트에서 5G 연결에 성공하고 실시간 5G 서비스를 시연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시연은 한국의 5G망(무선)과 미국의 5G망(무선)을 국제망(유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삼성전자의 5G 통신장비와 시범 단말을 사용했다.


이날 시연에서 로웰 맥아담 대표를 비롯한 버라이즌 관계자들은 미국에서 KT의 ‘옴니뷰’ 앱을 체험했으며 황창규 회장을 비롯한 KT 관계자들은 가상현실(VR) 기기를 활용해 버라이즌의 5G 가상 경기장을 체험했다. 이 자리에서는 황 회장과 맥아담 대표 사이의 5G 국제 영상통화도 이뤄졌다.


한국-미국 사이에 이뤄진 5G 시연 성공은 KT, 버라이즌, 삼성전자 3사가 지속적으로 협업한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현재 3사는 세계 최초 5G 규격 제정(평창 5G), 5G 단말 및 시스템 기술개발, 5G 시범망 구축 및 노하우 공유 등 5G와 관련해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3사의 노력은 3GPP NSA(LTE-5G 호환) 국제표준이 조기에 확정되도록 기여했으며 앞으로 5G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앞으로 3사는 5G 상용화를 위한 최적의 기술개발과 함께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축 및 운용 기술개발, 5G 에지 컴퓨팅 서비스 개발 등에서 협력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예정된 5G 국제 표준화도 협력할 계획이다.

KT 황창규 회장은 “앞으로 글로벌 이동통신사 및 제조사와 협력으로 5G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5G 조기 상용화로 관련 산업을 활성화시키는 한편 5G 글로벌 생태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버라이즌 로웰 맥아담 대표는 “KT, 삼성전자와 협업을 통해 미국 최대 스포츠 이벤트에서 5G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었다”며 “마침내 우리는 5G를 현실로 만들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김영기 사장은 “한국과 미국의 선도 통신사업자와 협업하면서 5G 기술을 보다 일찍 검증할 수 있었다”며 “이는 5G 상용화를 앞당기는 원동력이었으며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선제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5G가 조기에 안정적으로 상용화되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필원
이필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CJ프레시웨이, 경상남도 ‘자원순환분야 표창’ 수상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프레시웨이가 어린이집 원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남형 종이팩 재활용 솔루션 동행 프로젝트‘에 참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9월 경상남도로부터 '자원순환분야 유공' 표창을 받았다고 10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도내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종이팩 분리배출 · 회수 · 재활용 체계를 구축, 홍보, 실행하는 자원순환 활동이다

2

CJ제일제당, ‘비비고 얇은피 왕교자’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제일제당이 만두피는 더 얇게, 만두소는 더 채운 ‘비비고 얇은피 왕교자’를 선보인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제품은 자사몰인 CJ더마켓에서만 판매하는 전용 제품으로, 기존 ‘비비고 왕교자’ 대비 만두피가 약 10% 얇다. 만두피가 얇아진 만큼 만두소도 더 채워 넣어 더욱 꽉 찬 식감을 느낄 수 있다. CJ제일제당은 이번 제품 출시

3

대상, 프랑스 파리15시 ‘김치의 날’ 공식 제정 동참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대상이 AMA협회(Association Mes Amis), SF글로벌라이즈와 함께 프랑스 파리15시 '김치의 날' 공식 제정이라는 역사적 성과를 거뒀다고 10일 밝혔다. 유럽연합(EU) 공공기관 차원에서 ‘김치의 날’을 공식 기념일로 제정한 최초 사례로, 유럽 내 김치 확산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