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유원형 기자] SK텔레콤이 전방 사고 징후를 뒤따르는 차량에 일제히 경고하는 기술 'T맵 V2X'를 모바일 내비게이션' T맵'에서 13일 상용화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T맵 V2X'를 통해 대형 사고 및 2차 추돌 사고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T맵 V2X(Vehicle to Everything)'는 앞서가는 T맵 이용 차량이 급제동하면 사고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고, 최대 1km 내 뒤따르는 차량의 T맵 이용 화면에 일제히 경고 문구를 띄워 운전자에게 주의를 주는 기술이다. 뒤따르는 운전자는 전방 상황이 시야에 보이지 않더라도 T맵 경고에 따라 서서히 속력을 줄여 추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런 기능이 가능한 것은 'T맵 V2X'의 인공지능이 스마트폰 모션 센서, GPS 정보, 빅데이터 등으로 차량 급제동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이다. SK텔레콤 커넥티드카 플랫폼 '스마트 플릿(Smart Fleet)'은 급제동 신호를 포착하면 뒤따르는 차량을 추적해 경고를 전달한다. 이 모든 과정은 LTE망을 통해 순식간에 이뤄진다.
경고를 보내는 범위는 도로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도로나 평균 속력이 낮은 구간에서는 100m 내외 후방 차량에, 고속도로에서는 최대 1km 후방 차량에 위험을 경고한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도로별 평균 속력, 경사, 회전 각도 등 빅데이터를 분석해 전국 도로를 580만개 구역으로 나눴다고 밝혔다. 향후에는 시간 특성도 반영할 예정이다. 차량 통행량이 적은 심야에는 과속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경고를 전달하는 범위를 길게 산정하는 식이다.
SK텔레콤은 고객들이 신규 기술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서비스를 단계별로 확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T맵 V2X'는 전국 고속도로 및 수도권 고속화도로에서 우선 제공되며 국도·일반도로는 순차 확대 적용된다. 서비스 초기에는 T맵 화면 하단에 경고 팝업을 띄우고 향후 알림음 등이 추가될 예정이다.
‘T맵 V2X’는 최대 1km 전방 위험을 확인할 수 있어 악천후나 선행 대형차량에 가려 시야 확보가 어려울 때 특히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운전자 지원시스템(ADAS)이나 전방 충돌경고기능(FCWS) 등 카메라·센서 기반 안전 보조 장치는 바로 앞차와 추돌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카메라·센서 기반 기술과 V2X기술을 쓰면 사고 위험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T맵 V2X'는 일반 스마트폰과 소프트웨어 기반 V2X 기술이다. 별도 장비 구입비나 월 이용료가 없다.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원스토어'나 '구글플레이'에서 T맵 최신 버전만 다운로드하면 된다. 경고 팝업은 T맵이 작동 중일 때만 받을 수 있다.
SK텔레콤은 교통 사고 발생 원인이 다양한 만큼 운전자가 안전 수칙을 지키며 ‘T맵 V2X’와 같은 보조 기술을 참고 기능으로 사용하길 당부했다.
SK텔레콤 박진효 ICT기술원장은 “지난 2년간 빠르고 정확하며 고객 안전까지 고려한 차량 통신 기술을 개발해왔다”며 “T맵 V2X를 통해 확보된 빅데이터, 사용자 경험을 자율주행차 안전성을 높이는 데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