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장찬걸 기자] 교통비는 서민경제와 직결된다. 그런데 살림살이가 힘든 계층이 상대적으로 생활교통비를 더 많이 지출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경기 외곽 지역으로 갈수록 일상에서 지출하는 생활교통비가 서울 인접지역 대비 최대 3.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1일 국토연구원(원장 강현수) 김종학 인프라정책연구센터장은 주간 국토정책 브리프 “빅데이터로 살펴본 우리 동네 생활교통 비용”을 통해 경기도 560개 읍·면·동의 생활교통비용을 추정했다.
김 센터장은 보고서를 공개하며 "삶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일상적 통행에 대한 불편함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대도시 간 통행보다는 거주지에서 주변 읍·면·동 간 통행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빅데이터로 살펴본 우리 동네 생활교통비용 [사진= 국토연구원 제공]](/news/data/20190122/p179565847978941_996.jpg)
생활교통비용은 거주지에서 다른 읍·면·동으로 하루 1회 왕복했을 때 발생하는 요금·유류비 등 직접비용과 시간 등 간접비용의 합을 말한다. 연구진은 '거주지에서 주변 읍·면·동 간' 통행을 일상적인 통행으로 정의했다.
생활교통비용은 소득수준이 낮은 지역일수록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경기도 읍·면·동별 평균가구 소득을 5분위로 나눠 분석한 결과, 월 평균소득 하위지역(250만원 이하)은 상위 지역(520~660만원) 대비 30만원가량 생활교통비를 더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하'(250만~317만원) 지역과 비교하면 교통비로 한달에 약 14만원을 더 쓰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는 경기 외곽일수록 생활교통비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인접 경기 남부권역의 생활교통비용은 월 20만원으로 평균보다 낮은 반면, 북부권역은 이보다 2배가량 많은 40만원, 경기 외곽은 3.5배 높은 70만원으로 집계됐다.
생활교통비용이 가구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서울과 가까운 과천, 광명, 부천 등을 비롯해 수도권 1기 신도시는 분당구(4.6%), 군포·안양 동안구(4.9%), 용인 수지구(5.2%) 등은 5% 수준에 불과했다. 이는 경기도민의 월소득에서 생활교통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인 약 9%에 비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이와 대조적으로 2기 신도시인 남양주(10%), 화성(11%), 광주(12%) 등은 평균을 웃돌았고, 가평(20%), 연천(19%), 양평, 포천(이상 18%) 등 경기 외곽 지역은 3배 이상으로 격차를 드러냈다.
김종학 센터장은 "빅데이터 융합을 통한 생활교통비 추정이 필요하고, 생활교통비용 파악을 통해 지역 간 소득수준별 격차 완화 방안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정부와 지자체가 교통정책을 펼 때 감안할 필요가 있는 자료인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