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소비자 물가상승 1% 미만… 유류세 인하·국제유가 안정 영향

이필원 / 기사승인 : 2019-02-01 14:41:20
  • -
  • +
  • 인쇄

[메가경제 이필원 기자] 12개월 만에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1% 미만을 기록하며 서민경제에 숨통이 트였다. 국제 유가 하락과 정부의 유류세 인하 조치로 인한 결과로 분석된다.


1일 통계청은 '소비자물가동향' 자료를 공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24(2015년=100)로 작년 1월보다 0.8% 상승했다.

소비자 물가지수 상승률이 1%을 기록한 것은 지난해 1월에 이어 12개월 만이다. 전년 동월과 비교한 이 상승률은 2016년 8월 0.5%였다가 그 후에는 2018년 1월과 지난달을 제외하고는 줄곧 1% 이상을 유지했다.



지난 1월 소비자 물가지수 상승률이 12개월만에 1%를 밑돌았다. [사진= 통게청 제공]
지난 1월 소비자 물가지수 상승률이 12개월만에 1%를 밑돌았다. [사진= 통게청 제공]


전문가들은 석유를 비롯한 공업제품 가격 하락이 물가 안정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공업제품은 1년 전보다 0.7% 하락해 전체 물가를 0.22%포인트 끌어내렸다.


석유류는 작년 1월보다 9.7% 떨어졌다.품목별로는 휘발유 12.7%, 경유 7.0%, 자동차용 LPG 9.4%의 하락률을 각각 기록했다.


농축수산물 물가지수는 같은 기간 동안 2.5% 올랐다. 지난해 12월에 5.2% 올랐던 것에 비하면 상승폭이 축소됐다. 양파, 배추 등 월동 물량이 시장에 풀리면서 농산물 물가 상승폭이 10.7%에서 5.3%로 떨어졌다. 축산물은 1.5% 하락했다.


이에 반해 서민들의 체감도가 높은 외식비는 지난해 1월보다 3.1% 상승했다. 외식물가는 지난해 4월에 3.1% 오른 후 10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김밥(6.5%), 도시락(6.5%), 죽(6.4%), 치킨(5.9%), 떡볶이(5.7%), 갈비탕(5.5%) 등의 가격 상승률이 높았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원재료비, 최저임금, 임대료가 상승하면서 외식 물가가 전반적으로 올랐다”고 말했다.


장바구니 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0.4% 상승했다. 2016년 8월 -0.2%를 기록한 후 상승률이 가장 낮았다. 밥상물가를 나타내는 신선식품지수도 양파, 무 등 신선채소가 2.0% 떨어지면서 같은 기간 동안 1.2% 오르는데 그쳤다.


설을 앞두고 배추(-14.0%), 무(-11.9%), 소고기(-0.9%), 돼지고기(-3.4%) 등 주요 농축산물 가격은 하락세를 보였다. 최근 구제역 발생에도 아직은 일부 지역에 영향이 국한돼 소·돼지고기 가격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지난해 이상기온으로 생산이 감소한 사과·배 가격은 여전히 높은 편이지만 설 수급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필원
이필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남양유업, 자사몰 ‘신상위크’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남양유업이 오는 21일까지 ‘남양몰’에서 ‘신상위크’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초코에몽 Mini 무가당’ ‘테이크핏 몬스터’ ‘테이크핏 맥스’ 등 주요 신제품을 최대 53%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유산균 1조 CFU를 담은 ‘불가리스 플레인’ 위 건강 발효유 ‘위쎈 오리지널’ 야채 발효 주스

2

코레일, 차량분야 협력사와 ‘청렴소통 간담회’ 개최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지난 11일 대전사옥에서 철도 차량분야 협력사와 ‘차량 부품의 규격심사·납품과정에서의 청렴소통’을 주제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현대로템, 우진산전 등 차량 제작사와 부품 납품사 등 31개 업체 관계자 등 90여 명이 참석했다.코레일은 철도차량 및 부품 구매 시 규격심사부터 검사, 납품까지의 업무

3

하림, '2025년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하림이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25년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에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근무 환경을 개선하는 데 앞장선 기업을 인증하는 제도다. 하림은 적극적인 고용 확대를 통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2024년도 총 고용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