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서 명절 장보면 9만원 아낀다?… 제수 비용 25만5천원

장찬걸 / 기사승인 : 2019-02-01 17:00:01
  • -
  • +
  • 인쇄

[메가경제 장찬걸 기자] 설을 맞아 제수음식을 준비하려는 시민들이 늘고 있다. 이번 명절 장보기는 대형마트 대신 전통시장을 방문하는 것도 좋은 선택으로 보인다. 설 명절 전통시장의 제수품 소비자 가격이 대형유통업체보다 약 10만원 가량 저렴한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설(2월 5일)을 약 일주일 앞두고 전국 19개 지역 45개 전통시장·대형유통업체를 대상으로 28개 제수품의 소비자 가격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조사에 따르면 총 28개 제수품을 사는 데 전통시장에서는 25만5천원, 대형유통업체에서는 34만8천원 비용이 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설 명절 전통시장의 제수품 소비자 가격이 대형유통업체보다 약 10만원 가량 저렴한 것으로 조사됐다. 설맞이로 분주한 전통시장. [사진= 연합뉴스]
설 명절 전통시장의 제수품 소비자 가격이 대형유통업체보다 약 10만원 가량 저렴한 것으로 조사됐다. 설맞이로 분주한 전통시장. [사진= 연합뉴스]


aT 이기우 수급이사는 "작년 유례없는 폭염으로 인해 설 성수품 물가 상승의 우려가 있었지만, 다행히 지난해보다 비교적 안정적인 시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설 성수기 마지막까지 주요 성수품의 수급관리에 온 힘을 쏟고 있다"고 밝혔다.


떡국용 쇠고기(양지)는 300g기준으로 전통시장이 1만 2751원으로 유통업체보다 7700여원 저렴했다.


나물류인 고사리와 시금치의 경우 400g기준으로 전통시장에서 각각 4533원, 4698원에 살 수 있지만 대형유통업체는 7천원가량 더 비싼 가격으로 판매했다.


제사상에 올라가는 과일인 배와 사과의 경우 5개 기준으로 약 3000원, 900원 정도 전통시장이 더 저렴했다.


지난 2차 조사(1월 23일)와 비교했을 때 전통시장의 식료품 가격은 0.4% 상승했고 대형유통업체는 0.5% 하락했다. 하지만 여전히 전통시장 가격이 더 저렴했다.


명절이 다가올수록 제수용 수요증가로 시금치, 고사리, 도라지 등 삼색 나물류와 소고기(양지)는 오름세를 보였고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대추는 전통시장 기준 1.9% 하락했다.


나물류와 과일류는 지난주 대비 가격이 상승했고, 일부 노지 채소류는 가격이 하락했다. 올해 비교적 생산량이 많은 배추와 무는 가격 하락세를 보였고, 지난해 이상기후로 인해 작황이 부진한 사과와 배는 2주 연속 가격이 소폭 상승했다.


설을 맞아 각종 제수음식 등의 각종 식재료를 사려는 시민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번 기회에 오래간만에 전통시장을 방문해서 저렴한 가격으로 장을 보는 것을 어떨까.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찬걸
장찬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