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일자리 상황이 매우 엄중하다며 최대한의 정책역량으로 위기를 타파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공공기관 일자리를 통해 실업난을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13일 오전 홍 부총리는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제8차 경제활력대책회의 겸 제6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국정 운영의 최우선 순위를 일자리 여건 개선에 두고 모든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올 1월 고용 통계에서 취업자 수가 2개월 연속 한 자릿수 증가에 머무른 데 따른 대책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1월 취업자 수는 2623만2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만9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18년 1월 취업자 수 증감(33만4000명)보다 크게 낮은 수치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8차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news/data/20190213/p179565863863835_463.jpg)
1월 실업률은 4.5%로 전년보다 0.8%포인트 상승했다. 실업자도 122만4000명으로 20만4000명 늘었다. 특히 60세 이상 실업자 수가 13만9000명(2.8%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제조업 취업자 수는 전년보다 17만명 감소했다.
제조업 부진에 대해서 홍 부총리는 "일자리 중추 역할을 하는 제조업의 경쟁력을 근본적으로 강화해 고용 창출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업종별 경쟁력 강화대책을 과감하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날 논의한 자료 중 40여개 액션플랜(Action Plan)을 확정했는데 정부가 계획한 대책들이 차질없이 집행되도록 노력하겠다. 제조업 고용 부진과 관련해 올해 민간투자가 개선될 수 있도록 정부가 노력하고 기업도 같은 노력을 해주리라고 기대한다"는 바람을 내비쳤다.
홍 부총리는 1월 실업률이 4.5%를 기록한 것과 관련해 원인 분석과 대응책을 밝히기도 했다. 홍 부총리는 "올해는 노인일자리 사업을 예년보다 일찍 시작하느라 모집 과정에서 고령층이 구직활동을 시작했고 이에 따라 경제활동 참가율과 실업률이 동반 상승했다"면서 "취약계층별 맞춤형 일자리 제공 노력도 지속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고령층(65세 이상)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2%포인트 높아졌고, 고령층의 고용률과 실업률은 각각 0.9%포인트와 4.3%포인트 동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 부총리는 상용직 증가가 지속되고 주취업연령대인 25~29세 중심으로 청년고용도 나아지는 등 긍정적 측면도 존재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청년들 체감고용 사장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만큼 이미 추진중인 청년대책을 지속 점검하고 강화하여 실요성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청년 고용률은 15~29세가 42.2%에서 42.9%로 0.7%포인트 상승했고 25~29세는 68.6%에서 69.9%로 1.3%포인트를 기록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홍 부총리의 원인 파악에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노인일자리 사업을 시작해 경제활동 참가율과 실업률이 동반 상승했다고는 해도 이번 1월 실업률은 4.5%로 9년만에 최고치인 4.5%를 경신했기 때문이다.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홍 부총리는 공공기관 일자리 신설을 해결책으로 내세웠다. 그는 "대내·외 경제여건을 감안하면 올해 고용 여건은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가용 정책수단을 총동원해 일자리 창출 목표 15만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기존계획이었던 2만3000명에 2000명을 늘려 공공기관 일자리 창출에 힘을 쓰겠다고 밝혔다. 또한 홍 부총리는 2000개의 일자리가 임시가 아닌 정규직임을 강조하는 한편, "일부 기관이 청년인턴 등 임시적인 일자리 대책도 추진하는데 이는 일각에서 (문제가) 제기된다면 배제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집권 3년차를 맞은 문재인 정부는 최근 고질적인 일자리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보고 총력을 쏟고 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제시한 공공기관 일자리 채용계획이 일자리난 문제 해결에 얼마나 도움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