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개인회생 사건의 변제기간을 놓고 법원이 1년여 만에 다른 지침을 내려 채무자들의 혼란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변제계획 변경안을 인가할지를 두고 엄격한 별도 심사가 필요하다는 게 대법원의 입장이다. 법원으로선 서둘러 후속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서울회생법원은 3년 이상 미납금 없이 빚을 갚은 개인회생 채무자가 변제기간을 단축하는 내용의 변제계획 변경안을 제출하면 이를 인가해주는 업무지침을 내린 바 있다. 하지만 대법원의 결정으로 사실상 폐지됐다.
대법원 1부(주심 박정화 대법관)는 25일 이모씨의 개인회생 변제계획 변경안에 대한 서울회생법원의 인가 결정을 취소해달라는 채권업체 A사의 재항고심에서 '인가 결정이 옳다'고 판단한 원심의 결정을 깨고 사건을 서울회생법원 합의부로 돌려보냈다고 밝혔다.
![[사진 = 연합뉴스]](/news/data/20190326/p179565879244103_223.jpg)
대법원은 "법원은 변제계획 인가 후 채무자의 소득이나 재산 등의 변동상황을 조사해 이에 비춰 인가된 변제계획에서 정한 변제 기간이 상당하지 않게 되는 등의 변경 사유가 발생했는지를 심리·판단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대법원은 1심 법원이 채무자의 소득이나 재산 등의 변동상황을 심리를 하지 않은 채 변제계획 변경안을 인가한 잘못이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회생법원은 기존 업무지침을 더는 운용할 수 없다고 판단해 폐지하기로 잠정 결론을 내렸다. 이후 "변제 기간 단축을 기대하고 계시던 채무자분들께 혼란을 드려 유감"이라며 "채무자분들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2014년 5월 서울회생법원에서 개인회생절차 개시 결정을 받은 이씨는 그해 10월 같은 법원에서 '5년 동안 매월 17만원씩 총 1035만원'을 갚는 변제계획을 인가받았다.
채무자회생법은 2017년 12월 변제 기간이 최대 3년을 넘지 못하도록 개정됐고, 서울회생법원은 2018년 1월 이씨와 같이 법 개정 전에 변제계획 인가를 받아 기간 단축 혜택을 받지 않는 채무자들도 새 법 취지에 따라 변제계획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업무지침을 마련했다.
이씨는 이 업무지침에 따라 변제 기간을 5년에서 47개월로 단축하는 내용의 변제계획 변경안을 서울회생법원에 냈고, 법원은 2018년 5월 변경안을 그대로 인가했다.
이에 A사가 인가 결정이 위법하다고 항고했지만, 2심도 "변경안 인가는 정당하고 인가 결정에 위법이 없다"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하지만 대법원은 2심 판단을 다시 하라고 결정했다.
한국파산회생변호사회는 서울회생법원의 개인회생 변제기간 단축 허용 폐지의 원인이 된 대법원 판결에 대해 "채무자의 신속한 재기를 도우려는 법의 정신을 훼손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