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최소 5만원… 직장인들 "경조사비 부담스럽다"

강한결 / 기사승인 : 2019-04-15 09:22:10
  • -
  • +
  • 인쇄

[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최소 5만원, 친한 사이 10만원, 절친에게는 15만원 이상.'


직장인들 사이에서 통용되는 경조사비의 액수다. 5만원권이 출시된 이후 경조사비는 최소 5만원으로 자리잡았다.


적정 액수에 대한 의견은 분분한 상황이지만, 최근 흐름을 보면 5만원, 10만원, 15만원 등 '5만원 단위'로 결정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이 평균적으로 1년동안 지출하는 경조사비는 얼마나 될까.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은 15일 직장인 43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의 74.3%가 인맥 관리를 위해 꼭 해야 하는 것으로 '경조사 참석'을 꼽았다.


한달 평균 경조사 참석 횟수는 1.6회였으며, 한번 갈 때마다 내는 경조사비는 평균 7만3000원으로 집계됐다. 1년에 약 140만원을 지출하는 셈이다. 기혼 직장인의 경우 한 해 평균 경조사비가 164만원으로, 미혼 직장인 지출액(117만원)을 훨씬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지난해와 비교해 경조사비 지출이 늘었다는 응답이 38.9%로, 줄었다(6.9%)는 응답 비율보다 훨씬 높았다. 나머지 54.3%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답했다.


특히 응답자의 89.7%는 경조사 참석에 부담을 느낀다고 밝혔고, 그 이유로는 '경제적 부담'(74.6%·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꼽았다.


[제공 = 사람인]
[제공 = 사람인]

예식, 장례 등 행사 진행을 위한 비용이 상승하면서, 경조사비의 단위가 커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직장인 A씨는 지난해 6월 결혼식을 올렸다. A씨는 광진구에 위치한 예식장을 예약했다. A씨는 "결혼식을 치르다 보니 대략 1인당 식대비가 5만원선"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객들에게는 당연히 감사하지만, 축의금을 5만원 밑으로 내면 결국에는 손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경조사 문화가 미래에도 지금처럼 보험으로서의 기능을 잘 유지할 수 있을지, 만약 그렇지 못할 것이라면 사람들에게 부담만 주는 문화로 남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경조사비 지출은 갑자기 찾아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 비효율적인 소비를 불러올 수 있다. 과거와 달리 공동체 의식이 약해진 만큼 '경조사비는 보험'이라는 인식의 개선과 허례허식을 강조하는 사회문화에 대한 고찰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한결
강한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