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표원, 내부회로 발화 전자담배·보조배터리 등 4개 모델 리콜 명령

유지훈 / 기사승인 : 2019-10-22 16:28:43
  • -
  • +
  • 인쇄

[메가경제 유지훈 기자] 충전 중에 발화가 일어나는 등 안전성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전자담배와 보조배터리 등 4개 모델에 대해 리콜 명령이 내려졌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하 국표원)은 시중에 유통되는 배터리 내장형 제품 가운데 외부단락(합선)·과충전 시험 중에 발화하는 등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전자담배 1개, 보조배터리 1개, 직류전원장치 2개 등 중국에서 수입된 총 4개 모델에 대해 제품안전기본법에 의거해 리콜 명령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안전성 조사는 전자담배, 보조배터리, 전기충전기 등 관련 제품 366개 모델에 대해 지난 6월부터 9월까지 실시됐다.



리콜명령이 내려진 4개 제품.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리콜명령이 내려진 4개 제품.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리콜제품을 보면, 전자담배(모델명 502325)는 외부단락 현상과 함께 시험 중 내부회로에서 발화가 일어났고, 보조배터리(모델명 XB-902)는 과충전 시험 중 내부회로에서 발화가 발생했다.


직류전원장치의 경우, 모델명 BX-0800400과 GI90-4200200 등 2개 제품은 감전보호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표원은 이번에 리콜 명령을 내린 4개 모델은 시중판매를 원천 차단조치하기 위해 22일자로 제품안전정보센터 및 행복드림에 공개하고, 제품안전국제공조 일환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글로벌리콜포털에 등록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국표원은 전국 유통매장과 온라인 쇼핑몰과 연계된 위해상품판매 차단시스템에도 등록하고, 소비자·시민단체와 연계해 리콜제품이 시중에서 유통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감시·조치할 예정이다.


국표원은 지난 7월에도 여름철 수요가 집중되는 전동킥보드·휴대용 선풍기 등 배터리 내장 제품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실시해 과충전 시험에 부적합한 전동킥보드를 리콜명령한 바 있다.


국표원은 이처럼 배터리 내장 제품 등에 대해 안전관리·감독을 강화한 결과, 관련 제품의 안전기준 부적합 적발률이 2017년 6.3%에서 지난해 5.8%, 올해 0.7%로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표원은 수거되지 않은 리콜제품이 발견되면 국민신문고 또는 한국제품안전관리원으로 신고해 줄 것과 리콜제품을 사용 중인 소비자는 수입·판매사업자로부터 수리·교환·환불 등의 조치를 받을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유지훈
유지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