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현진·펭수, 박원순 시장과 '2019제야의 종' 타종식 참여...보신각 종소리로 2020년 새해 인사

유지훈 / 기사승인 : 2019-12-31 14:02:18
  • -
  • +
  • 인쇄

[메가경제 유지훈 기자] 중생들의 백팔번뇌를 없앤다는 의미의 불교식 타종 행사에서 유래된 ‘제야(除夜)’는 ‘섣달 그뭄날 밤’ 묵은 해의 어둠을 걷어내고 새로운 해를 맞이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제야의 종’은 매년 12월 31일 자정을 기해 이러한 제야의 의미를 담아 서울 종로2가 보신각종을 33번 치는 행사다.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4년 8천만달러’ 대박 FA계약의 결실을 맺은 류현진 선수와 국민의 뜨거운 사랑을 받고 있는 캐릭터 ‘펭수’가 올해의 액운을 씻고 새해의 행운을 여는 제야의 종 타종행사에 참가해 경자년 새해를 연다.



2019년 메이저리거에서 최고의 한 해를 보낸 류현진 선수가 2019년을 걷어내고 2020년 새해를 여는 보신각 제야의 종 타종식에 캐릭터 '펭수' 등과 함께 참여한다. 사진은 30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부인 배지현 씨와 입국하고 있는 모습. 그는 FA대박 신화를 쓰며 새롭게 둥지를 튼 토론토에서의 목표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2019년 메이저리거에서 최고의 한 해를 보낸 류현진 선수가 보신각 제야의 종 타종식에 캐릭터 '펭수' 등과 함께 참여한다. 사진은 30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부인 배지현 씨와 입국하는 모습. 그는 FA대박 신화를 쓰며 새롭게 둥지를 튼 토론토에서의 목표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미국에 처음 진출한 2013년 정도의 성적(14승 8패 평균자책점 3.00) 정도는 거두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사진= 연합뉴스]


서울시에 따르면, 박원순 시장은 31일 자정 종로 보신각 ‘2019년 제야의 종 타종행사’에서 각계 시민 대표들과 타종을 하며 2020년 경자년 새해를 맞는다.


이날 박 시장과 함께 타종식에 참가하는 인원은 장애인 권익보호에 힘쓴 변호사 등 시민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준 시민대표 12명 등 총 17명이다.


6명씩 3개조가 각각 11번씩 총 33번을 타종한다.



유명 캐릭터 '펭수'가 보신각 제야의 종 타종식에 참가했다. [사진= KBS 1TV 생방송 캡처]
유명 캐릭터 '펭수'가 보신각 '제야의 종' 타종식에 참가해 준비하고 있다. [사진= KBS 1TV 생방송 캡처]


주요 인사들로는 미하엘 라이터러 주한EU대표부 대사와 6.25전쟁 당시 학도병으로 참여한 강영구 씨, 신원철 서울시의회 의장, 그리고 류현진과 펭수가 참여한다.


타종식 순서는 이날 밤 11시 40분 타종인사 소개, 기념촬영에 이어 자정부터 타종이 진행된다.


타종 이후에는 박원순 시장이 현장을 찾은 시민들에게 신년 인사도 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유지훈
유지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미국 바이오사업 현장경영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그룹은 신동빈 회장이 지난 5일(한국시각) 미국 뉴욕주에 위치한 롯데바이오로직스 시러큐스 바이오 캠퍼스를 찾아 생산시설을 점검하고 임직원을 격려했다고 9일 밝혔다. 신 회장은 롯데바이오로직스 사업현황 보고를 받은 후 올해 본격 가동을 시작한 ADC(항체약물접합체) 생산시설을 둘러봤다. 신 회장의 ADC 생산시설 방문은 가동한 이

2

삼양식품 김정수 부회장, 아누가(ANUGA) 2025 현장 방문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삼양식품 김정수 부회장이 전략 수출시장으로 부상한 미국에 이어 유럽을 방문하며 글로벌 현장 경영에 광폭 행보를 보이고 있다. 삼양식품은 김정수 부회장이 지난 4일(현지시각) 독일 쾰른에서 열린 세계 최대 식품 박람회 ‘아누가(ANUGA) 2025’ 현장을 찾았다고 9일 밝혔다. ‘Buldak Spicy Club’을 콘셉트로 구성한

3

성장과 무한도전...무신사, 패션플랫폼 탈피 위한 잰걸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패션 플랫폼 무신사가 내년 IPO를 추진하며 사업 영역을 넓히며 종합기업으로 도약을 노리고 있다. 무신사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0.7% 증가한 3777억 원, 영업이익은 22.6% 증가한 413억 원을 달성했다. 이는 역대 2분기 최대 실적이다. 오프라인에선 지속적인 출점 효과가 성과를 냈다. 무신사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