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랜드스타렉스·포터2·쏘렌토 등 현대·기아차 6개 차종 64만대 제작결함 리콜

유지훈 / 기사승인 : 2019-12-31 18:45:51
  • -
  • +
  • 인쇄

[메가경제 유지훈 기자] 국토교통부는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에서 제작·판매한 그랜드스타렉스, 포터2, 쏘렌토 등 총 6개 차종 64만2272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자발적으로 시정조치(리콜)한다고 30일 밝혔다.


우선, 현대자동차에서 제작·판매한 그랜드스타렉스(TQ) 13만140대, 포터 2(HR) 29만5982대, 쏠라티 3312대, 마이티 내로우 3992대는, 흡기공기 제어밸브의 위치정보전달 시간설정 오류로 발견됐다.


이로 인해 RPM(분당회전수)이 불안정하고 엔진 경고등이 점등될 수 있으며, 주행 중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확인돼 리콜에 들어간다.



[자료출처= 국토교통부]
현대자동차 포터 2(HR) 리콜 내역. [자료출처= 국토교통부]


기아자동차에서 제작·판매한 쏘렌토(UM) 3만1193대는 차간거리제어장치(SCC) 장착 차량으로서, 전방 보행자 인지정보 전달 통신방법 오류로 충돌방지 보조장치의 제동기능이 작동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시정조치됐다.


또, 기아차의 봉고 3(PU) 17만7653대도 흡기공기 제어밸브의 위치정보전달 시간설정 오류로 RPM이 불안정하고 엔진 경고등이 점등될 수 있으며, 주행 중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확인됐다.



[자료출처= 국토교통부]
기아자동차 쏘렌토(UM)와 봉고 3(PU) 리콜 내역. [자료출처= 국토교통부]


현대차의 경우, 그랜드스타렉스와 포터2는 지난 27일부터, 쏠라티·마이티 내로우는 새해 1월 17일부터 현대자동차 직영서비스센터 및 블루핸즈에서 무상으로 수리를 받을 수 있다.


기아차 해당차량의 경우는 지난 27일부터 오토큐(AUTO Q)에서 무상으로 수리를 받을 수 있다.



[자료출처= 국토교통부]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리콜 대상 자동차. [자료출처= 국토교통부]


이번 결함시정과 관련해 해당 제작사에서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 및 휴대전화 문자로 시정방법 등을 알리게 되며, 결함시정 전에 자동차 소유자가 결함내용을 자비로 수리한 경우에는 제작사에 수리한 비용에 대한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가 운영하는 ‘자동차리콜센터’ 홈페이지에서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상시적으로 해당차량의 리콜대상 여부 및 구체적인 제작결함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유지훈
유지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미국 바이오사업 현장경영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그룹은 신동빈 회장이 지난 5일(한국시각) 미국 뉴욕주에 위치한 롯데바이오로직스 시러큐스 바이오 캠퍼스를 찾아 생산시설을 점검하고 임직원을 격려했다고 9일 밝혔다. 신 회장은 롯데바이오로직스 사업현황 보고를 받은 후 올해 본격 가동을 시작한 ADC(항체약물접합체) 생산시설을 둘러봤다. 신 회장의 ADC 생산시설 방문은 가동한 이

2

삼양식품 김정수 부회장, 아누가(ANUGA) 2025 현장 방문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삼양식품 김정수 부회장이 전략 수출시장으로 부상한 미국에 이어 유럽을 방문하며 글로벌 현장 경영에 광폭 행보를 보이고 있다. 삼양식품은 김정수 부회장이 지난 4일(현지시각) 독일 쾰른에서 열린 세계 최대 식품 박람회 ‘아누가(ANUGA) 2025’ 현장을 찾았다고 9일 밝혔다. ‘Buldak Spicy Club’을 콘셉트로 구성한

3

성장과 무한도전...무신사, 패션플랫폼 탈피 위한 잰걸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패션 플랫폼 무신사가 내년 IPO를 추진하며 사업 영역을 넓히며 종합기업으로 도약을 노리고 있다. 무신사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0.7% 증가한 3777억 원, 영업이익은 22.6% 증가한 413억 원을 달성했다. 이는 역대 2분기 최대 실적이다. 오프라인에선 지속적인 출점 효과가 성과를 냈다. 무신사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