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분크림 보습력·사용감·가격 제품별 제각각...가성비 브랜드 제품은?

류수근 기자 / 기사승인 : 2020-01-17 20:21:24
  • -
  • +
  • 인쇄
소비자원, 10㎖당 가격 최고 7.4배 차이...가성비 '미샤' 우수

[메가경제 류수근 기자] 수분크림은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하는 대표적인 기초 화장품이다. 그런 만큼 수분크림의 핵심 기능은 보습력이다. 시중에서 많이 팔리는 수분크림 중 미샤 제품이 가성비 면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한국소비자원이 소비자 설문조사를 통해 선호도가 높은 수분크림 10개 브랜드(10개 제품)를 대상으로 보습력, 사용감, 안전성 등을 시험·평가한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이번에 조사한 브랜드 10개 제품은 닥터자르트(바이탈 하이드라 솔루션 바이옴 모이스처 크림), 더페이스샵(더테라피 로얄 메이드수분 블렌딩 크림), 마몽드(플로랄 하이드로 크림), 미샤(수퍼아쿠아 울트라 히알론 크림), 비오템(아쿠아수르스 수분 크림), 빌리프(더 트루 크림 아쿠아 밤), 아이오페(히아루로닉 크림), 이니스프리(아티초크 레이어링 인텐스 크림), 키엘(울트라 훼이셜 크림), CNP(듀얼-밸런스 워터락 모이스트 크림)이었다.


그 결과, 핵심 성능인 보습력과 사용감 측면에서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고, 10mL 당 가격에서도 최대 7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소비자원은 밝혔다.



[출처= 한국소비자원 제공]
보습력 시험 평가 결과. [출처= 한국소비자원 제공]


우선, 수분크림을 바른 후 피부의 수분 함유량을 알아보는 보습력을 시험·평가한 결과, 수분크림을 바르고 30분이 지난 후의 보습력은 모든 제품이 ‘우수’ 이상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4시간이 지난 후의 보습력은 제품 간 비교적 차이가 있었다. 조사대상 중 더페이스샵·미샤·비오템·아이오페·키엘 등 5개 브랜드 제품이 가장 높은 평가인 ‘상대적으로 매우 우수’를 받았다.


이어 마몽드·빌리프·CNP 등 3개 제품은 ‘상대적으로 우수’였고, 닥터자르트·이니스프리 등 2개 제품은 4시간이 지난 후의 보습력에서 가장 낮은 평가인 ‘양호’를 받았다.


보습력 시험·평가에서 ‘30분 후’와 ‘4시간 후’ 평가가 모두 ‘매우 우수’하다고 나타난 브랜드 제품은 더페이스샵, 미샤, 비오템, 아이오페 등 5개였다.


소비자원은 또, 수분크림을 바르거나 바른 후의 느낌인 사용감(수분감, 발림성, 유분감, 끈적임, 잔여감)은 제품 간 차이가 있어 개인의 선호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했다고 밝혔다.


[출처= 한국소비자원 제공]
사용감 시험 평[출처= 한국소비자원 제공]


피부에 느껴지는 촉촉한 정도인 ‘수분감’과 피부에 저항 없이 고르게 발라지는 정도인 ‘발림성’은 모든 제품이 ‘보통(3점)’ 이상으로 평가됐다.


피부에 느껴지는 유분의 정도인 ‘유분감’과 얼굴과 손에 느껴지는 끈적이는 정도인 ‘끈적임’, 수분크림을 바른 후 피부에 남아있는 정도인 ‘잔여감’은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다.


이번 조사 결과, 10mL 당 가격은 1467원에서 1만800원으로 제품 간 최대 7.4배 차이가 있어, 제품 선택 시 보습력과 사용감 외에 가격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니스프리 제품은 가격이 가장 저렴(1467원/10mL)했지만 30분 후 보습력은 ‘우수', 4시간 후 보습력은 ’양호' 수준으로 평가됐고, 비오템 제품은 30분 후 및 4시간 후 보습력이 모두 상대적으로 ‘매우 우수’했으나 가격은 가장 비쌌다(1만800원/10mL).



[출처= 한국소비자원 제공]
제품 10㎖ 당 가격. [출처= 한국소비자원 제공]


수분크림의 핵심 성능인 보습력 측면에서 볼 때는, 미샤 제품은 30분 후 및 4시간 후 보습력이 모두 상대적으로 ‘매우 우수’해 가격(4000원/10mL, 두 번째로 저렴) 대비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안전성, 제품 모두 안전 기준에 적합했다. 중금속(크롬 등 7종), 보존제(벤질알코올 등 15종), 수소이온농도(pH)를 시험한 결과, 제품 모두 안전기준에 적합했다고 소비자원은 밝혔다.


표시 용량 대비 실제 용량인 ‘내용량’과 향료인 ‘착향제’, 법정 표시사항 등도 제품 모두 관련 기준에 적합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미국 바이오사업 현장경영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그룹은 신동빈 회장이 지난 5일(한국시각) 미국 뉴욕주에 위치한 롯데바이오로직스 시러큐스 바이오 캠퍼스를 찾아 생산시설을 점검하고 임직원을 격려했다고 9일 밝혔다. 신 회장은 롯데바이오로직스 사업현황 보고를 받은 후 올해 본격 가동을 시작한 ADC(항체약물접합체) 생산시설을 둘러봤다. 신 회장의 ADC 생산시설 방문은 가동한 이

2

삼양식품 김정수 부회장, 아누가(ANUGA) 2025 현장 방문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삼양식품 김정수 부회장이 전략 수출시장으로 부상한 미국에 이어 유럽을 방문하며 글로벌 현장 경영에 광폭 행보를 보이고 있다. 삼양식품은 김정수 부회장이 지난 4일(현지시각) 독일 쾰른에서 열린 세계 최대 식품 박람회 ‘아누가(ANUGA) 2025’ 현장을 찾았다고 9일 밝혔다. ‘Buldak Spicy Club’을 콘셉트로 구성한

3

성장과 무한도전...무신사, 패션플랫폼 탈피 위한 잰걸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패션 플랫폼 무신사가 내년 IPO를 추진하며 사업 영역을 넓히며 종합기업으로 도약을 노리고 있다. 무신사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0.7% 증가한 3777억 원, 영업이익은 22.6% 증가한 413억 원을 달성했다. 이는 역대 2분기 최대 실적이다. 오프라인에선 지속적인 출점 효과가 성과를 냈다. 무신사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