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어린이책미술관, '전시 체험 키트' 론칭...첫 상품 '오! 자연' 선봬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2-22 00:02:53
  • -
  • +
  • 인쇄
현대백화점 판교점 5층 모카숍·온라인몰 더현대닷컴서 판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현대백화점이 운영하는 현대어린이책미술관은 'MOKA 전시 체험 키트'를 론칭하고, 첫 상품으로 '오! 자연' 키트를 선보인다.

미술관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시간·장소와 관계없이 전시를 즐기면서 가족이 함께 교육·체험 활동을 손쉽게 경험해볼 수 있는 게 특징이다.

그림 작가의 인터뷰와 대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모바일 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는 'QR코드'가 포함된 설명서와 미술관에 방문해야 체험할 수 있었던 그리기·만들기 등 전시와 연계된 활동들을 집에서도 자녀들이 직접 해볼 수 있게 만든 재료들로 구성된다.
 

▲ 현대어린이책미술관 전시체험키트 [사진=현대백화점 제공]

 

이번에 선보이는 '오! 자연 - MOKA 전시 체험 키트'는 지난해 12월부터 진행하고 있는 전시 '오! 자연'을 주제로 만들어졌다. 권혁도·이태수·사이다·엘레나 셀레나·엠마누엘 워커 등 전시에 참여한 주요 작가 5인의 작품에 대한 설명과 이와 관련된 체험 활동을 할 수 있는 입체 퍼즐·미니 돋보기·스티커 등으로 구성됐다.

22일부터 현대백화점 판교점 5층에 위치한 현대어린이책미술관 내 아트숍인 모카숍(MOKA Shop)과 현대백화점 공식 온라인몰 더현대닷컴에서 판매된다. 판매 가격은 9000원(배송료 별도)이다.

현대어린이책미술관은 다양한 비대면 문화·예술 콘텐츠를 운영하고 있다.

현대어린이책미술관 홈페이지에서 미술관과 현대프리미엄아울렛 스페이스원의 '모카가든'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 무료로 가상현실을 통해 설명을 들으며 체험할 수 있는 '오디오 VR(가상현실) 전시 투어' 서비스, 소외계층 아동들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비대면 사회공헌 프로그램 '모카 에듀 On-Air', 교사 대상 온라인 미술 교육 워크숍 등이 대표적이다.

 

▲ 현대어린이책미술관 전시체험키트 [사진=현대백화점 제공]


현대어린이책미술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 키트는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에서도 시간·장소에 대한 제약없이 누구나 문화·예술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획했다"며 "앞으로도 코로나19 상황과 관계없이 아동들이 자유롭게 문화·예술을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어린이책미술관은 내달 28일까지 자연을 주제로 작품을 만드는 국내외 그림책 작가 9명의 작품들을 소개하는 '오! 자연' 전시를 열고 있다. 전시 관람료는 6000원이며, 보다 자세한 전시관람 정보 확인 및 교육 예약은 현대어린이책미술관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예스골프, 파크골프채 ‘마에스트로’ 출시…초경량 카본 샤프트-인체공학적 그립 적용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예스골프가 프리미엄 파크골프채 ‘마에스트로(MAESTRO)’를 공식 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마에스트로’는 예스골프의 골프 클럽 제작 노하우를 집약한 제품으로, 519g의 초경량 카본 샤프트를 적용해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가벼운 스윙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경량화와 함께 성능도 놓치지 않았다. 헤드에 집중된 무게중심 설

2

뉴비즈원, '현장관리 전문팀' 신설… "차별화된 전문가 투입으로 아웃소싱 경쟁력 강화"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리테일 아웃소싱 전문기업 ㈜뉴비즈원이 자사 아웃소싱사업본부 내에 '현장관리 전문팀'을 신설하고, 대기업 리테일 현장 전문가를 영업부문에 영입하는 등 조직 개편을 통해 현장 중심의 전문 인력 관리 시스템을 대폭 강화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급변하는 리테일 시장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고객사에 한 차

3

SKT, '2700만 고객정보 판매' 해커 주장에 "사실 무근"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텔레콤이 국제 해킹조직이 자사 2700만명의 고객 데이터를 판매한다며 해킹을 주장한 부분에 대해 "사실 무근"이라며 일축했다. SK텔레콤은 16일 "해커가 주장한 내용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다크웹(텔레그램)에 올린 샘플데이터, 웹사이트 캡처 화면, FTP 화면 등을 분석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