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돈내산 독박투어', 공식 포스터 공개..."첫 독박자는 김준호?" 티저 눈길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3-05-16 11:09:42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20년지기’ 절친 김대희X김준호X장동민X유세윤X홍인규가 뭉친 신개념 여행 예능 ‘니돈내산 독박투어(MBN·채널S·라이프타임 공동 제작)’가 공식 포스터와 1차 티저를 공개했다.

 

▲ '독박투어' 공식 포스터. [사진=채널S, mbn, 라이프타임]

 

오는 6월 초 첫 방송하는 ‘니돈내산 독박투어’는 20주년 우정 여행을 빌미로 시작된 ‘찐친들의 복불복 독박투어’를 콘셉트로 한 여행 예능이다.

 

이와 함께 공개된 공식 포스터에서 김대희X김준호X장동민X유세윤X홍인규는 찐친이기에 가능한 케미를 발산해 본방송에 대한 기대감을 치솟게 한다. 모래사장에 파묻힌 채 얼굴만 내밀며 울상을 짓는 김준호를 가운데 두고, 나머지 4인이 쾌재를 부르는 모습을 보이며 짠내 웃음을 안기는 것.
 

여기에 ‘인정사정없는 우정 여행기’라는 부제와 함께 “걸리면 독박! 안 걸리면 친구 돈으로 떠나는 공짜 여행!”, “진 놈이 돈 다 내는 거다”라는 문구가 덧붙여져 있어, 전무후무한 ‘출연진 사비 여행’의 탄생과 풀 스토리에 관심이 커진다. 

 

▲ '독박투어' 1차 티저 캡처. [사진=채널S]

이와 함께, 첫 티저에는 ‘독박여행’을 앞두고 사전 미팅을 가진 5인방의 생생한 반응이 담겨 있어 눈길을 사로잡는다. 이들은 “우리는 이번 여행의 콘셉트를 ‘출연자들이 돈을 내는 여행’으로 잡았다”라고 제작진이 설명하자, “무슨 XX 소리냐?”며 언성을 높인다. 그러나 이내 해외 여행지에 도착한 5인방은 ‘복불복 게임’에 과몰입해, 여행 경비 독박자의 탄생을 지켜보며 환호한다. 특히 김준호를 둘러싼 4인이 “독박자!”를 열렬히 외치는 가운데, “우리가 원하는 건 나만 아니면 돼”라는 자막이 덧붙여져 있어서 ‘출연자 사비’로 진행되는 파격 여행의 전말에 기대가 쏠린다.

제작진은 “이번 ‘독박투어’는 사전 미팅 때부터 ‘항공료 제외하고 모든 비용은 출연자가 낸다’로 정해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재미 요소가 있다. 실속 있는 저렴한 여행 코스부터 남의 돈으로 즐기는 럭셔리 코스까지 꽉 찬 정보와 상상 초월 재미를 안겨줄 5인방의 복불복 독박투어를 기대해 달라”고 밝혔다.

“네 돈이냐, 내 돈이냐, 그것이 문제로다!”를 외치게 만들 ‘20년지기’ 5인방의 복불복 독박 여행기,MBN·채널S·라이프타임 ‘니돈내산 독박투어’는 오는 6월 초 첫 방송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펑크비즘, 호나우지뉴 쇼 RWA 프로젝트 공개… 브라질 축구 레전드들과 함께하는 무대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펑크비즘(Punkvism)이 또 한 번 새로운 도전을 내놓았다. 바로 ‘호나우지뉴 쇼’라는 이름으로 열리는 브라질 축구 경기 RWA 프로젝트다. 오는 2025년 11월 9일 스위스에서 개최되는 브라질 대 스위스 경기를 기반으로 하는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투자 상품이 아니라, 세계적인 축구 레전드들과 함께 뛰고 즐길 수 있는 전례

2

국회서, 친환경 해양 모빌리티 산업발전 방안 세미나 개최
[메기경제=전창민 기자]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문대림 의원이 주최하고 한국모빌리티학회(회장 정구민 국민대 교수), 국제e-모빌리티엑스포(회장 김대환), 한국수소연합(회장 김재홍) 등이 주관한 ‘친환경 해양 모빌리티 산업발전 방안’ 세미나가 지난 9월 30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에서 참석자들은 친환경 기술 개발 지원 국제 표준 및 규제

3

안호영 환노위원장, “건설현장 안전·노동 문제 해결 국회가 적극 나서겠다”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안호영 의원(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은 지난달 30일 오전 11시, 서울 건설회관 8층 회의실에서 대한건설협회 회장 및 임원진 20여 명과 함께 안전 · 노동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지난 1일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안호영 위원장을 비롯해 대한건설협회 한승구 회장 , 회원부회장 , 시도회장 등 20 여 명이 참석해 건설업계의 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