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제일장사2' 김동현, "꼴찌인 농구팀과 연합하겠다" 남경진x조진형 노린 큰 그림?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3-05-05 10:01:14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격투팀 대장 김동현이 ‘연합대전’에서 농구팀을 선택할지 초미의 관심이 쏠린다.

 

▲ '천하제일장사2' 김동현이 남경진을 저격해 화제다. [사진=채널A]

6일(토) 밤 9시 방송하는 ‘천하제일장사2’ 7회에서는 데스매치 2차전으로 ‘연합대전’이 전개되는 가운데, ‘강팀’ 레슬링팀-격투팀-피지컬팀이 ‘꼴찌’ 농구팀과 연합을 할지 말지 고려하는 대환장(?) 시츄에이션이 벌어진다.

이번 ‘연합대전’에서는 네 팀이 두 팀씩 짝을 이뤄 맞대결을 펼친다. 특히 이 맞대결에서 패배한 두 팀이 ‘탈락팀 결정전’으로 최종 운명을 가르는 만큼, 아군이 없는 살벌한 대항전 양상을 띨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잔인한 룰에 모두가 혀를 내두른 가운데, ‘최약체’ 농구팀은 본능적으로 위기를 감지해 깊은 한숨을 내쉰다.

그런데 이때, 김동현이 갑자기 “(저희한테 기회가 온다면) 농구팀을 선택하겠다”고 해 모두를 놀라게 한다. 상상을 초월한 파격 발언에 토끼눈이 된 MC 군단은 그 이유를 묻고, 김동현은 “호랑이 두 마리가 지금 떨어지는 걸 보고 싶다”며 ‘극강 사나이’ 남경진-조진형을 언급한다. 야구팀과 동계팀 선수들은 “김동현, 진짜 멋있다”며 박수갈채를 보내는데, 남경진은 “저기엔 호랑이가 없다”며 오히려 느긋한 태도를 보인다.

하지만 잠시 후, 김기태 해설위원은 “혹시 ‘연합대전’에서 패배했을 때를 생각한 것 아니냐?”며 김동현의 ‘큰그림’을 의심한다. 김동현은 곧장 “머리가 굉장히 좋으신데요?”라며 인정해 폭소를 안긴다. 실제로 다른 팀 대장들 역시, 농구팀과 연합해서 얻을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검토해 농구팀에게 새로운 희망(?)을 선사한다. 급기야 현주엽은 “만약 지면 (‘탈락팀 결정전’에서 이길 수 있는) 우리가 보험인 건데 버리겠냐”며 갑자기 당당해져(?) 현장을 초토화시킨다.

이후 각 팀 코치들의 대결에서 승리한 팀이 같이 연합할 팀을 선택하는 특권이 주어진다고 발표되자, 전 선수들은 초집중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때 조진형은 “진짜 힘이 뭔지 보여드리겠습니다!”라며 살벌한 기운을 뿜어낸다. 하지만 현주엽은 “많이 봤어~”라며 그의 도발을 부드러운 카리스마로 눌러 폭소를 안긴다. 과연 네 팀이 어떻게 연합팀을 구성할지 궁금증이 치솟는다.

종목의 명예를 건 7개 팀의 ‘모래판 전쟁’이 펼쳐지는 ‘천하제일장사2’는 채널A, 채널S, SK브로드밴드가 공동 제작하며, 6일(토) 밤 9시 방송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펑크비즘, 호나우지뉴 쇼 RWA 프로젝트 공개… 브라질 축구 레전드들과 함께하는 무대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펑크비즘(Punkvism)이 또 한 번 새로운 도전을 내놓았다. 바로 ‘호나우지뉴 쇼’라는 이름으로 열리는 브라질 축구 경기 RWA 프로젝트다. 오는 2025년 11월 9일 스위스에서 개최되는 브라질 대 스위스 경기를 기반으로 하는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투자 상품이 아니라, 세계적인 축구 레전드들과 함께 뛰고 즐길 수 있는 전례

2

국회서, 친환경 해양 모빌리티 산업발전 방안 세미나 개최
[메기경제=전창민 기자]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문대림 의원이 주최하고 한국모빌리티학회(회장 정구민 국민대 교수), 국제e-모빌리티엑스포(회장 김대환), 한국수소연합(회장 김재홍) 등이 주관한 ‘친환경 해양 모빌리티 산업발전 방안’ 세미나가 지난 9월 30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에서 참석자들은 친환경 기술 개발 지원 국제 표준 및 규제

3

안호영 환노위원장, “건설현장 안전·노동 문제 해결 국회가 적극 나서겠다”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안호영 의원(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은 지난달 30일 오전 11시, 서울 건설회관 8층 회의실에서 대한건설협회 회장 및 임원진 20여 명과 함께 안전 · 노동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지난 1일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안호영 위원장을 비롯해 대한건설협회 한승구 회장 , 회원부회장 , 시도회장 등 20 여 명이 참석해 건설업계의 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