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상반기 순손실 3804억원…전년비 적자폭 확대

문혜원 / 기사승인 : 2024-09-01 09:08:47
  • -
  • +
  • 인쇄
금감원, '저축은행 및 상호금융조합 영업실적’
"부동산PF 부실로 충당금 적립규모 확대 영향"

[메가경제=문혜원 기자] 저축은행업권이 올해 상반기 3800억원대의 적자를 냈다. 상호금융권은 상반기 순이익이 반토막났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이 실적 부진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금융감독원이 30일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저축은행 및 상호금융조합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저축은행들은 상반기 3804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이는 965억원 순손실을 기록한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적자폭이 2839억원 확대된 것이다.

 

저축은행이 이른바 '몸집 줄이기'에 나서면서 지난해 여·수신 모두 10조원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금감원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성 평가기준 개선에 따라 대손충당금 적립 규모(2조3285억원)가 지난해 말(1조9558억원)보다 4000억원 가량 늘어난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저축은행과 상호금융권의 연체율 등 자산건전성도 악화됐다. 구체적으로 저축은행의 자산건전성 현황을 보면 6월말 기준 연체율은 8.36%로 전년말 대비 1.81%포인트 증가했다.

 

▲금감원 '저축은행 손익현황' 자료. [자료=금융감독원]

 

특히 기업대출 연체율은 전년말 대비 3.90%포인트 증가한 11.92%로 두자릿수를 넘겼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4.80%로 전년말 대비 0.21%포인트 하락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전년말 대비 3.77%포인트 상승하며 11.52%를 기록했다.

 

상호금융조합의 경우 상반기 순이익은 1조639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9546억원 감소(47.3%)한 것이다.

 

신용사업부문(금융) 순이익은 2조7531억원으로 대손비용 증가에 따라 전년동기 대비 1조126억원(26.9%) 줄었다. 경제사업부문은 농수산 판매수익 증가 등으로 적자 규모가 지난해 상반기 1조7472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1조6892억원으로 소폭 축소됐다.

 

상호금융조합 연체율은 6월말 기준 4.38%로 전년말 대비 1.41%포인트 늘었다. 상호금융조합의 상반기 총여신은 513조7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조3000억원(0.7%) 증가했다. 총수신은 637조2000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18.0조원(2.9%) 늘었다.

 

아울러 연체 증가도 실적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6월 말 기준 연체율은 8.36%로 지난해 말 대비 1.81%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기업대출 연체율 상승 폭이 컸다. 지난해 말 대비 3.90%포인트 상승한 11.92%다. 

 

반면 가계대출 연체율은 4.80%로 같은 기간 0.21%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지난해 말 대비 3.77%포인트 상승한 11.52%이다. 충당금적립률은 113.8%로 모든 저축은행이 규제비율(100%)을 상회했다.

 

금감원은 연체율 관련 "경기회복 불확실성 등으로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면서도 "다만 이는 PF대출 연착륙 방안 등에 따른 건전성 관리 강화에 기인한 것으로 다소 불가피한 측면이 있으며 과거 위기시와 비교할 때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감독규정상 요적립액 대비 충당금적립률은 113.8%로 전년말 수준을 유지했다. 모든 저축은행이 규제비율(100%)을 상회했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5.04%로 전년말 대비 0.69%포인트 올랐다. 저축은행의 BIS 규제비율은 자산 1조원 미만은 7%, 1조원 이상은 8%가 적용되고 있는데 이를 크게 상회했다.

 

적자 실현에도 불구하고 자본확충 등으로 자기자본은 소폭 감소(-2000억원)에 그친 반면 위험가중자산은 크게 감소(-6조3000억원)한 데 따른 것으로 금감원은 분석했다.

 

올해 상반기 저축은행의 총자산은 120조1000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6조5000억원(5.1%) 감소했다. 영업실적 악화에 따라 저축은행들이 영업전략을 보수적으로 펼치면서 기업대출 위주로 대출자산이 감소(-7조1000억원)한 영향이다.

 

수신은 100조9000억원이다. 대출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말 대비 6조3000억원(5.9%) 줄었다. 자기자본은 14조4000억원으로 적자 지속 등으로 전년말 대비 3000억원(2.0%) 감소했다.

 

금감원은 "저축은행 및 상호금융 업권 모두 실적 악화에도 자본확충 등으로 자본비율은 규제비율을 크게 상회하는 등 손실흡수능력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저축은행의 경우 최근 수신 감소는 대출 감소에 대응하는 자발적인 수신 전략에 기인한 것으로 유동성비율도 규제비율을 크게 상회하는 등 유동성 상황은 안정적인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금감원은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업권에 대해 충당금 추가 적립, 자본확충 등을 통해 손실흡수능력을 지속해서 제고토록 할 방침이다. PF 부실사업장 경·공매 등 실질적인 연체채권 정리 확대 유도, 연체정리가 미흡한 금융회사에 대한 경영실태평가 실시 등을 통해 건전성 관리도 계속 강화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혜원
문혜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한국화 거장 '소호' 김숙진 화백 5번째 개인전 '자연, 그곳에 머물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거짓과 허구, 겉치레와 인공미가 판치는 세상에 실존적 사실과 진실은 분간하기조차 어려워지고 자연과 호흡하며 살던 순전하고 서정적인 인간 심상은 점차 옛얘기가 돼 가고 있다. ‘혼돈’이라 할 만큼 종잡을 수 없는 일상에 지친 우리에게, 자연의 숨결과 동화적인 서정성을 일깨워주고 실존적 사실과 진실의 힘을 보여주는 존재는 그만큼 소중할

2

[현장] 성균관대학교EMBA SM포럼 세미나, 강정수 대표 "AI 경제, 비즈니스 미래를 바꾼다"
[메가경제=정호 기자] "AI가 없으면 회사에 가라고 했는데 컴퓨터 안 주면서 일하라는 거랑 똑같다. 미디어 소비라든지 소통이 어려워지기 시작하고 커머스가 불편해지기 시작하는 등 업무가 어려워지는 사회가 온다. AI가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강정수 블루닷 에이아이(AI) 연구센터장이 남긴 말이다. 강 센터장은

3

티웨이항공, 청주-발리 노선 운항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티웨이항공이 청주에서 출발하는 동남아시아 발리 정기 노선을 운항한다고 26일 밝혔다. 티웨이항공이 25일부터 청주-발리(덴파사르) 노선을 운항하며 다가오는 휴가 기간을 앞두고 청주발 동남아시아 하늘길 확대에 나섰다. 운항 당일 청주국제공항에서는 티웨이항공 임직원과 청주국제공항 관계자가 함께한 가운데 운항 기념 행사가 열렸다. 이번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