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 '탄소중립·탈석탄' 선언···연내 적도원칙 가입

황동현 / 기사승인 : 2021-03-10 09:28:33
  • -
  • +
  • 인쇄
'환경사회리스크관리체계(ESRM)'구축,2021년 적도원칙 가입목표
'하나금융그룹 지속가능금융체계' 개발, 은행 여신심사 시 반영
▲ 하나금융그룹 [사진=하나금융지주 제공] 


[메가경제=황동현 기자]하나금융그룹이 탄소중립과 탈석탄을 전격 선언하며, 연내 적도원칙 에 가입하기로 했다.

 

하나금융그룹(회장 김정태)은 ‘NEXT 2030 경영원칙’에 따라 모든 이해관계자의 가치 극대화 도모와 그룹 미션인 ‘함께 성장하며 행복을 나누는 금융’의 지속적인 실천을 위해 오는 2050년까지 그룹 전 관계사 적용을 목표로 한 탄소중립을 선언한다고 10일 밝혔다.

 

하나금융은, "이는 정부의 ‘2050 탄소중립’ 목표에 적극 동참하고 저탄소경제로의 전환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시장 확대에 기여하기 위함이다."고 밝혔다.

 

NEXT 2030 경영원칙은 ‘플랫폼 금융’, ’글로벌 금융’, ’ESG 금융’ 등 하나금융그룹의 3대 전략이다. 

 

이와 함께 하나금융그룹은 국내·외 석탄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채권 인수 등을 전면 중단하는 탈석탄 금융을 선포했다.

 

‘환경사회리스크관리체계(ESRM: Environmental and Social Risks Management)’를 상반기 중 구축 완료해 환경파괴와 인권침해 문제가 있는 사업을 중점적으로 선별해 금융지원을 억제할 계획이며, 이를 토대로 2021년 중 적도원칙 가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나금융그룹은 이와 함께 ESG 경영 실천 과정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프로세스 강화를 병행한다.

 

먼저 금융위원회의 녹색분류체계(K-Taxonomy)와 글로벌 기준을 엄격히 반영한 ‘하나금융그룹 지속가능금융체계(Hana-Taxonomy)’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2021년 중 하나은행 전산에 우선적으로 반영함으로써 여신 심사 시 ▲ 환경 리스크 반영 ▲ 환경 체계 상품 코드 적용 등을 통해 ESG 금융 실적을 투명하게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의 가이드를 반영한 TCFD 보고서를 6월 중 발간할 계획이다.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2019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TCFD 가이드를 반영한 그룹의 기후변화 리스크 대응 현황을 공개한 바 있으며 새로 발간될 보고서에는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거쳐 ▲ 향후 그룹이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고위험 섹터 식별 ▲ 이에 따른 리스크 관리 시나리오 개발 계획 등의 내용을 담을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하나금융그룹은 무엇보다 ESG 경영 내재화에 중점을 두고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ESG 교육과 이벤트를 진행해 이해도 제고와 실질적인 참여를 높일 계획이다.

 

먼저 3월부터 신입 행원, 관리자, 임원 등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ESG 교육을 기획·실시해  ESG에 대한 그룹 전반의 이해도를 높이고 이를 실무에 반영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업무역량 함양을 추진한다.

 

또한 지난 2월부터 시행중인 ▲ 절전모드 전환하기 ▲ 개인컵 사용하기 ▲ 계단 이용하기 ▲ 음식 남기지 않기 ▲ 출퇴근 시 대중교통 이용하기를 중심으로 한 ‘하나 Green Step5 환경 캠페인’을 상시화 할 계획이며 추가적인 이벤트를 기획해 직원들과 손님이 함께 ESG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마련할 계획이다.

 

한편 하나금융그룹은 2018년 글로벌 30개 금융사와 함께 유엔환경계획 책임은행원칙[UNEP PRB(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Principles for Responsible Bank)] 제정에 참여한 바 있으며, 다우존스지속가능지수[DJSI(Dow Jones Sustainability Indices)] 아시아퍼시픽 지수에 5년 연속 편입된 바 있다.

 

또한, 2020년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지배구조, 위험관리, 경영전략, 탄소배출목표 및 성과 관리체계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Carbon Disclosure Project)가 발표한 CDP 기후변화 대응부문에서 최고등급인 ‘리더십 A’를 획득한 바 있다.

 

이외에도 하나금융그룹은 CDP에 최초 참여한 2016년부터 다양한 노력을 인정받아 금융부문 ‘탄소경영 섹터 아너스’에 꾸준히 편입되어 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삼성에피스홀딩스 공식 출범…“바이오시밀러 넘어 차세대 성장동력 확보”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인적분할을 통해 신설된 바이오 투자 지주회사 삼성에피스홀딩스가 지난 1일 공식 출범하며 본격적인 경영에 돌입했다.삼성에피스홀딩스는 바이오시밀러 전문 기업 삼성바이오에피스를 100% 자회사로 두고, 별도의 신설 자회사를 설립해 차세대 바이오 기술 플랫폼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부터 상

2

동아ST, 포용의 일터 ‘행복세차소’ 오픈…장애인 자립 지원 나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동아에스티가 장애인 자립을 지원하고 포용적 일터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새로운 사내 복지공간을 마련했다.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정재훈)는 3일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 본사 내에 ‘행복세차소’를 개소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설은 사회적 취약계층인 장애인의 자립을 지원하고, 임직원 복지 향상에도 기여하기 위해 조성됐다. 행복세차소에는 총

3

일동제약그룹, ‘바이오 유럽’서 GLP-1RA 비만 신약 등 글로벌 파트너링 추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일동제약그룹이 유럽 최대 바이오 비즈니스 교류의 장인 ‘2025 바이오 유럽(BIO-Europe)’에 참가해 주요 신약 파이프라인을 선보이고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에 나선다.일동제약그룹은 3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5일까지 열리는 바이오 유럽에서 일동제약, 유노비아, 아이디언스 등 연구개발(R&D) 계열사가 참여해 글로벌 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