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오르고 대출 죄도...수도권 아파트값 상승세…서울은 '주춤'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09-03 10:18:40
  • -
  • +
  • 인쇄
전세가 상승률, 지난주 0.19%→ 0.20% 소폭 확대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상승률은 소폭 줄어든 반면 경기의 상승폭이 확대돼 수도권은 지난주 수준을 유지했다. 제주는 8개 도 중 가장 많이 올랐다.

지난 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31% 올라 지난주 0.30%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 8월 5째 주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제공]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는 0.40% 올라 3주째 역대 최고치 상승세를 유지했다. 전국 전세가 상승률은 0.20%로 지난주 0.19%보다 소폭 올라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지난주에 이어 아파트값 상승률이 제일 높은 지역은 수도권이다.

서울은 지난주 0.22%에 비해 소폭 내려간 0.21%의 상승률을 보였다. 규제 완화의 기대감이 있는 재건축단지 위주로 매매가가 올랐으나 시중은행 대출 중단과 금리 인상 등에 영향받아 상승률이 한풀 꺾였다.

경기도는 0.51%로 지난주 0.50%보다 확대됐고, 인천도 0.43%로 지난주 0.41%에 비해 상승폭이 넓어졌다.

경기도 오산시는 누읍동과 갈곶동 중저가 단지 위주로 0.80% 상승했다. 시흥시는 교통 호재 기대감이 이어지며 저가 매물 인식이 있는 하상동‧매화동 위주로 0.72% 올랐다.

인천 연수구는 교통 호재가 있는 연수동‧청학동의 중저가 단지 위주로 0.59% 올랐으며, 개발 소식이 있는 청라국제신도시 중심으로 서구가 0.49% 상승했다.
 

▲ 8월 5째 주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제공]

 

5대 광역시와 8개도는 각각 0.22%, 0.23% 올라 모두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넓어졌다. 제주도가 지난주 0.42%에서 이번 주 0.51%로 대폭 올라 8개도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세종시는 지난주에 이어 대부분 지역에서 내림세가 지속됐으나 하락률은 0.01%로 지난주 0.02%보다 소폭 줄었다.

전국 아파트 주간 전세가 상승률은 지난주 0.19%보다 오른 0.20%을 나타냈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은 0.25%로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으나 지방은 0.15% 오르며 지난주 0.13%보다 커진 상승률을 보였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서울우유, ‘서울우유 저지밀크콘’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서울우유협동조합(이하 서울우유)이 국산 저지우유(Jersey Milk)를 활용한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신제품 ‘서울우유 저지밀크콘’을 출시한다고 9일 밝혔다. ‘저지우유’는 영국 왕실 전용 우유를 만들기 위해 청정지역으로 알려진 영국 해협의 저지섬에서 자란 저지소 품종에서 생산한 우유로, 일반 우유보다 단백질, 칼슘 등 영양소 함유량이

2

농심, ‘비29’, 판매채널 늘린다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농심이 소비자 성원에 힘입어 스낵 ‘비29’ 판매 채널을 확대한다고 9일 밝혔다. 농심은 현재 편의점 CU에서 판매하고 있는 비29의 유통망을 15일부터 편의점 전 채널로 확대하고, 이후 대형마트, 온라인몰 등으로도 넓혀 나간다는 계획이다. 농심 비29는 1981년 출시된 제품으로, 카레맛 스낵의 원조로 꼽힌다. 농심은 그동안

3

두산건설, 강화도에 ‘두산위브 센트럴파크 강화’ 분양 개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국내 주택 시장은 최근 4년간 경기 침체와 공사비 상승, 미분양 증가, PF 대출 경색 등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위축된 흐름을 보였다. 이에 따라 건설사와 시행사들이 추진해 온 사업 대부분이 지연되거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가운데 두산건설은 인천 강화군 선원면창리에 신규 아파트 단지 ‘두산위브 센트럴파크 강화’를 선보이며 분양 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