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뱅, 최고 연 3% ‘26주적금 with 오늘의집’ 3일만에 15만좌 개설

황동현 / 기사승인 : 2022-06-24 11:13:05
  • -
  • +
  • 인쇄
오늘의집 할인 혜택과 한정판 굿즈 인기

카카오뱅크의 '26주적금 with 오늘의집' 적금이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최고 연 3%의 금리를 제공하는 이 상품은, 오늘의집 할인 혜택과 한정판 굿즈도 제공한다.

카카오뱅크가 지난 21일 출시한 다섯번째 파트너적금 ‘26주적금 with 오늘의집’의 가입 계좌수가 출시 3일만에 15만좌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 카카오뱅크가 지난 21일 출시한 다섯번째 파트너적금 ‘26주적금 with 오늘의집’의 가입 계좌수가 출시 3일만에 15만좌를 돌파했다 [포스터=카카오뱅크 제공]

 

‘26주적금 with 오늘의집’은 카카오뱅크의 26주적금에 오늘의집 모바일 앱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할인 쿠폰 혜택을 담은 상품으로, 다음달 20일까지 가입할 수 있다.

자동이체 납입 결과에 따라, 최대 3만 4000원의 오늘의집 할인 쿠폰을 증정한다. 발급받은 쿠폰은 가구, 가전, 생활용품, 캠핑용품 등 오늘의집에서 판매중인 상품 구매 시 사용 가능하다. 가입 고객 전원을 대상으로 카카오프렌즈 한정 상품이 포함된 경품 추첨 이벤트도 진행한다.

카카오뱅크는 26주적금을 기반으로 유통, 콘텐츠 플랫폼 등 다양한 제휴사와 파트너적금을 출시해오고 있다. '26주적금 with 오늘의집'은 카카오뱅크가 오늘의집과의 제휴를 통해 선보인 다섯번째 파트너적금이다. 일정 적금 회차 납입을 성공할 경우 파트너사의 쿠폰·캐시백 등의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저축을 하면서 동시에 소비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설계했다.


2020년 이마트를 시작으로 마켓컬리, 해피포인트, 카카오페이지 등과 함께 파트너적금을 출시했으며, 2주간 1인 1계좌만 가입 가능한 한정판 상품임에도 불구하고 총 180만좌가 개설될 정도로 큰 흥행을 거뒀다. 이를 통해, 카카오뱅크는 뱅킹과 커머스의 결합, 금융플랫폼으로서의 역량을 입증했다.

출시 3일만에 '26주적금 with 오늘의집'의 가입 계좌수가 15만좌를 넘어서면서 다시 한번 파트너적금의 흥행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오늘의집 상품 할인 혜택, '춘식이 이중내열 유리컵' 굿즈를 받아볼 수 있는 기회, 최고 연 3.00%의 금리 등이 인기 비결로 분석된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고객에게 더 많은 혜택을 드릴 수 있도록 보다 자주, 더 많은 파트너사와 함께 카카오뱅크만의 특별한 뱅킹커머스를 만들어나가겠다"고 밝혔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