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제5회 보안기술포럼' 온라인 개최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08-17 11:55:36
  • -
  • +
  • 인쇄
해외 유명 대학 석학들 강연 함께 진행

삼성전자가 '제5회 삼성보안기술포럼'을 온라인으로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2017년부터 매년 진행된 '삼성보안기술포럼'은 학계와 업계 관계자들이 참가해 보안기술 분야의 최신 기술과 동향을 공유하는 자리다.

올해 포럼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경험을 향해'라는 주제로 열렸다.


 

▲ 승현준 삼성리서치 연구소장이 강연에 나서 주요 연구 방향을 소개했다 [삼성전자 제공]

 

승현준 삼성리서치 연구소장(사장)은 기조 강연에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 5G가 일상과 비즈니스 방식을 변화시키는 가운데 편의성이 강화되는 만큼 보안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삼성전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에서 서비스에 이르는 모든 층위를 제공하며,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연구에 앞장서고 있다"고 덧붙였다.

승현준 소장은 이날 새 하드웨어 기능과 소프트웨어 통합을 통한 기기 내 보안 강화와, 무작위로 데이터를 입력해 예외 오류를 발생시킨 후 취약 원인을 분석하는 퍼징(Fuzzing) 테스트 등을 소개했다.

또한 소프트웨어 오류 검증 기법의 자동화와 AI‧머신러닝을 활용해 보안을 강화하는 위협 인텔리전스 등 삼성리서치의 주요 연구 방향을 공개했다.

황용호 삼성리서치 시큐리티팀장(상무)는 투명성, 보호, 개인정보의 관점에서 사용자들에게 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 활동을 공유했다.

이어서 ▲로스 앤더슨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무스타케 아마드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콘스탄틴 베즈노소프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 ▲이병영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등 보안기술 분야 석학들의 강연이 진행됐다.

로스 앤더슨 교수는 신경망 모델, 머신러닝 기반 보안시스템 관련 연구를 소개했고, 무스타케 아마드 교수는 음성 인식과 자연어 처리 기술 발전을 기반으로 음성 통화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설명했다.

콘스탄틴 베즈노소프 교수는 코로나19로 가속화된 정보 추적 기술 분야에서 개인정보 활용과 보호 간 균형을 유지하는 방안에 대해 강연했다. 이병영 교수는 소프트웨어 검증 기법인 퍼징을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대하는 연구를 소개했다.

한편, 삼성리서치 연구진들은 최근의 보안기술 연구와 오픈소스 활동에 대해 발표했다. 해킹 입문자부터 상급자까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온라인 해킹체험존도 운영됐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GS25, 11월 ‘미리 크리스마스’ 주류 페스타...와인·위스키 1500종 총출동”
[메가경제=심영범 기자]GS25가 본격적인 연말 시즌 시작을 맞아 11월 한 달간 ‘2025 연말 주류 페스타’를 개최한다고 2일 밝혔다. 최근 홈파티와 셀프 기프트(Self-Gift) 문화가 일상화되면서 연말 준비가 앞당겨지는 ‘미리 크리스마스’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GS25는 연말 주류를 미리 준비하는 고객을 위해 와인·샴페인·위스키 등

2

애경산업 루나, 베베더오리 협업 에디션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 애경산업 ‘루나’가 글로벌 인기 캐릭터 ‘베베더오리’(BEBE THE ORI)와 협업해 ‘루나 X 베베더오리 컬래버 에디션’(LUNA X BEBE THE ORI COLLAB EDITION)을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루나 X 베베더오리 컬래버 에디션은 귀여운 비주얼과 위트 있는 입담으로 MZ세대에게 인기를 얻고 있는 베베더오리 디자

3

롯데호텔앤리조트, ‘2025 APEC 정상회의’서 의전 및 케이터링 지원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호텔앤리조트가 ‘2025 APEC 정상회의’와 ‘APEC CEO 서밋’을 비롯한 주요 행사에서 의전 및 케이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며 성공적인 개최에 품격있는 힘을 보탰다. 이번 행사에는 전국에 위치한 체인 호텔에서 객실, 식음, 조리, 연회 등 각 분야의 우수 전문 서비스 인력 300여명을 선발해 각국 정상과 대표단을 맞이했다.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