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에피스 '바이오시밀러 3종', 1분기 유럽시장 매출 전년比 6.3%↓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4-23 12:03:28
  • -
  • +
  • 인쇄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개발한 류마티스 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3종의 올해 1분기 유럽 내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6.3%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유럽 지역 마케팅 파트너사 바이오젠(Biogen)이 22일(미국 현지시간) 발표한 1분기 실적에 따르면, 베네팔리, 임랄디, 플릭사비 등 바이오시밀러 3종의 지난 1분기 유럽시장 매출은 2억 510만 달러(약 2320억 원)으로 전년 동기(2억 1880만 달러) 대비 6.3% 내렸다. 전분기(1억 9740만 달러)보다는 3.9% 올라 분기별 매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 유럽 Anti TNF Alpha 3종 [삼성바이오에피스 제공]



삼성바이오에피스 관계자는 "지난해 1분기에는 코로나19 대응 관련 재고 확보를 위한 유럽 내 병원과 도매상의 선(先)주문 물량으로 일시적인 매출 상승이 있었다"며 "올해 1분기 매출이 역(逆)성장한 것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2분기에는 1분기 선주문 영향으로 유럽 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3종 제품 매출이 1억 7160만 달러로 하락하는 등 코로나19에 따른 시장 변동성이 컸다.

하지만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제품 판매량 확대로 안정적인 성장 추세가 지속되면서 지난해 연간 최대인 7억 9580만 달러의 제품 매출 실적을 달성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주력 제품 `베네팔리`는 올해 들어서도 유럽 내 시장점유율 46%로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임랄디`와 `플릭사비`도 10% 이상의 시장점유율과 함께 판매량이 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 삼성바이오에피스 신사옥 전경

 


또한 22일 바이오젠에 따르면 유럽 내에서 같은 제품 3종을 처방받은 누적 환자 수가 24만 명에 달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 같은 처방 실적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저변을 확대해 나가기 위한 `데이터 경쟁력`도 확보해 나가는 중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앞으로도 유럽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활용해 고품질 바이오의약품을 통한 환자들의 치료 기회 확대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올해로 창립 10년차를 맞은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총 10개의 블록버스터급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와 항암제 총 5종은 유럽 등에서 판매 중이다. 안과질환 치료제 등 기타 5종은 판매허가 심사 또는 임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아이윌미디어, 글로벌 숏폼 '혼검:헌터스' 촬영 성료...'꿈에서 자유로' 본격 제작 돌입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아이윌미디어 제작 글로벌 숏폼 드라마 ‘혼검:헌터스’가 지난 9월 말 촬영을 마쳤다. ‘혼검:헌터스’는 유튜버 강무가 여검객 아라치의 혼과 만나 현대 사회에 출몰한 귀물들을 퇴치하는 판타지 액션물이다. 극중 김진환은 ‘강무’ 역을 맡아 첫 주연임에도 깊은 몰입과 섬세한 연기로 제작진의 호평을 받았다. 안재모는 욕망의 메인 빌런으로

2

CJ온스타일, 협력사 지원 AI 데이터 플랫폼 본격 가동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온스타일이 협력사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AI)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낸다. CJ온스타일은 협력사 전용 데이터 플랫폼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본격 가동하며, AI 데이터 분석 등 협력사의 데이터 기반 성장을 지원하는 인프라를 구축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플랫폼은 AI가 매출 데이터뿐 아니라 고객의 소리(VOC)와 리뷰를 정밀 분

3

신세계면세점, 인천공항 DF2 사업 접는다..."적자 확대 따른 결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라면세점에 이어 신세계면세점도 인천공항에서 일부 철수 카드를 꺼내들었다. 신세계는 30일 신세계디에프가 이사회를 열어 신세계면세점의 인천공항 면세점 DF2(화장품·향수·주류·담배)권역에 대한 영업을 정지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신세계면세점은 “고환율, 경기 둔화, 주 고객의 구매력 감소 및 소비 패턴의 변화 등 면세 시장에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