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업계 부동산 PF 연체율 17.28%, 석 달 새 1.40%P 급증

오민아 기자 / 기사승인 : 2023-09-12 12:59:42
  • -
  • +
  • 인쇄
0% 은행권도 0.23%로 상승, 금융당국 "불안요인 상존, 지속 관리 필요"

[메가경제=오민아 기자] 증권사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이 지난 6월말 기준 17.28%대를 기록하며 불과 3개월 새 1.40%P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특단의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부동산 PF 사업 정상화 추진 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는 12일 서울 정부서울청사 대회의실에서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부동산 PF 사업 정상화 추진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최근 PF 시장 및 대주단 협약 가동 상황을 점검했다.

 

지난 6월 말 기준 금융권 전체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2.17%로 지난 3월 말(2.01%) 대비 0.16%P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작년 말(1.19%) 대비로는 1%포인트가량 오른 것이다.

 

이 기간 증권사는 15.88%에서 17.28%로 1.40%포인트 오르는 등 전 금융권에서 압도적으로 높았다. 보험은 0.07%P(0.66%→0.73%), 저축은행은 0.54%P(4.07%→4.61%). 상호금융은 1.03%P(0.10%→1.12%) 늘었다. 더욱이 연체율이 0%였던 은행권 연체율이 0.23%로 증가했다.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마련한 PF 대주단 협약 적용을 받는 부실·부실 우려 사업장은 모두 187곳으로 집계됐다.

 

이 중 152곳에 대해 기한이익 부활, 신규 자금 지원, 이자 유예, 만기 연장 등 정상화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사업 진행단계별로 브릿지론이 144개로 전체 협약 중 77.0%를 차지했다. 본PF 대비 이해관계자 간 조정 필요성이 큰 브릿지론에 대주단 협약이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84곳(경기 44곳, 서울 24곳, 인천 16곳), 지방 103곳에 협약이 적용됐다. 용도별로는 주거시설(114곳)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업장에 적용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날 점검회의에서는 이달 중 본격 가동을 앞둔 1조원 규모의 캠코의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 펀드' 조성·추진 상황도 점검했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부동산 PF 사업장의 재구조화를 통한 사업성 제고와 이를 전제로 한 신규 자금 투입이 현재 부동산 PF 시장의 정상화와 원활한 주택공급에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민아 기자
오민아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