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철도의 날 기념식 개최 … 유공자 포상 등 철도인 격려

문기환 기자 / 기사승인 : 2024-06-27 14:51:30
  • -
  • +
  • 인쇄
철도산업 미래전망 주제로 한 세미나·철도 특별 전시회 등 연계 행사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국토교통부는 오는 28일 오후 서울에서 2024 철도의 날 기념식을 개최한다.

 

기념식은 한국철도협회,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 ㈜에스알이 공동주관 한다.  

▲ 「2024 철도의 날」 기념식 포스터

2024 철도의 날 기념식은 대한민국 철도 130주년, 도시철도 개통 50주년, KTX 개통 20주년 및 GTX 개통 원년을 맞이해, ‘빛나는 대한민국 철도, 국민과 함께하는 힘찬 도약’을 주제로 열린다.

기념식에는 국토부 박상우 장관을 비롯해 한국철도협회 이성해 회장, 한국철도공사 한문희 사장, 에스알 이종국 대표이사 등 철도업계 대표 및 관계자 등 약 4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해외 철도시장 개척, 철도안전 등 철도산업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 157명에게 정부포상(12명) 및 국토교통부장관표창(145명)을 수여한다.

특히, 영예의 철탑산업훈장은 철도기술개발 및 해외철도시장 개척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신우이엔지(주) 송재호 회장이, 산업포장은 ㈜계룡건설산업 조영규 전무, ㈜디투엔지니어링 서동훈 본부장, 극동건설 김명석 상무 등 3명이 수상할 예정이다. 

 

▲ 정부포상 대상자(12명)

 

식전 행사로는 철도 전문가가 ‘철도산업 미래전망’을 주제로 발표하는 세미나(6.28)가 열린다. 이와 함께 고속철도의 역사를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행사도 열릴 예정이다.

먼저, 기념식 현장에서는 고속철도 20주년을 맞아 편찬한 고속철도 20년사 서적 전시회가 열린다. 28일부터는 주요 철도역 (서울역, 대전역, 수서역)에서 ‘한국 고속철도 차량과 역사’를 주제로 한 사진 전시회(6.28~7.5)도 열릴 예정이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2024년은 철도산업의 중요한 변혁의 시기”임을 강조하면서 “철도가 늘 우리 국민의 삶과 함께 해 왔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철도안전에 더 힘써 줄 것”을 당부할 예정이다.

아울러, “순수 우리 기술로 제작한 고속철도차량을 해외에 최초로 수출한 것을 발판으로 K-철도의 해외수출을 적극 지원할 것”과 “과거 단순한 운송수단인 철도의 관점에서 벗어나 관광, 예술 등 연계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한 철도산업의 영역 확대”를 철도업계에 주문하는 한편, “정부도 함께 고민하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힐 예정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