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피앤피, 영농 폐비닐 재활용 업무협약…“자원 선순환 구조 구축”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11-18 14:59:35
  • -
  • +
  • 인쇄
환경공단·전북도청·농협과 협력

대림피앤피는 지난 17일 전북 전주에서 한국환경공단 전북환경본부와 전북도청, 농협중앙회 전북본부와 함께 ‘영농 폐비닐 재활용분야 탄소중립 기반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영농 폐비닐을 재활용해 농가에서 발생하는 폐비닐 쓰레기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농가에 친환경 멀칭 필름을 공급하는 자원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체결됐다.
 

▲ (왼쪽부터) 정재호 농협중앙회 전북지역 본부장, 정재웅 환경공단 전북본부장, 이진호 대림피앤피 대표 [사진=대림피앤피 제공]

 

환경공단이 농가로부터 폐비닐을 수거하면 대림피앤피가 이를 원료로 농업용 멀칭 필름 등으로 재활용하는 구조다.

전북도청은 재활용 원료 사용 활성화 정책 및 제도 지원을, 농협은 재활용 원료로 생산된 제품의 판매 촉진 활동을 담당한다. 대림피앤피는 업사이클링 제품을 내년 봄부터 전북 지역 농가에 시범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존의 영농 폐비닐은 오염이 심하고 불순물이 많아 폐기되거나 수로 파이프나 정화조 등 저부가 제품으로만 재활용되었다.

대림피앤피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재활용 원료 사용률을 업계 최고 수준인 50%까지 끌어 올릴 계획이다. 환경공단과의 협업을 통해 이미 관련 기술 개발 및 시험생산을 완료했다. 대림피앤피는 DL케미칼이 자체 개발한 차세대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제품인 ‘디파인’을 이용한다.

대림피앤피는 전북지역에서 발생하는 약 1만 톤의 영농 폐비닐을 친환경 제품으로 재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전국으로 확대할 시 약 10만 톤을 재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13만 톤의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 효과와 같다.

대림피앤피와 환경공단·전북도청·농협은 향후 농업용 멀칭 필름뿐만 아니라 지자체 폐기물 수거용 필름과 가정용 종량제봉투까지 다양한 제품군으로 활용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진호 대림피앤피 대표는 “자원선순환 구축을 위한 대림피앤피의 노력에 함께해 주신 환경공단, 전북도청 그리고 농협에 진심으로 감사한다”며 “우리는 앞으로도 다양한 유관 기관들과 협력하여 친환경 경영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 말했다.

환경공단 정재웅 본부장은 “이번 협약은 전북 지역뿐만 아니라 향후 전국 영농 폐기물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환경공단 역시 친환경 자원선순환 구축을 위해 공단 차원의 지원을 지속할 것”이라 전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아이윌미디어, 글로벌 숏폼 '혼검:헌터스' 촬영 성료...'꿈에서 자유로' 본격 제작 돌입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아이윌미디어 제작 글로벌 숏폼 드라마 ‘혼검:헌터스’가 지난 9월 말 촬영을 마쳤다. ‘혼검:헌터스’는 유튜버 강무가 여검객 아라치의 혼과 만나 현대 사회에 출몰한 귀물들을 퇴치하는 판타지 액션물이다. 극중 김진환은 ‘강무’ 역을 맡아 첫 주연임에도 깊은 몰입과 섬세한 연기로 제작진의 호평을 받았다. 안재모는 욕망의 메인 빌런으로

2

CJ온스타일, 협력사 지원 AI 데이터 플랫폼 본격 가동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온스타일이 협력사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AI)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낸다. CJ온스타일은 협력사 전용 데이터 플랫폼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본격 가동하며, AI 데이터 분석 등 협력사의 데이터 기반 성장을 지원하는 인프라를 구축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플랫폼은 AI가 매출 데이터뿐 아니라 고객의 소리(VOC)와 리뷰를 정밀 분

3

신세계면세점, 인천공항 DF2 사업 접는다..."적자 확대 따른 결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라면세점에 이어 신세계면세점도 인천공항에서 일부 철수 카드를 꺼내들었다. 신세계는 30일 신세계디에프가 이사회를 열어 신세계면세점의 인천공항 면세점 DF2(화장품·향수·주류·담배)권역에 대한 영업을 정지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신세계면세점은 “고환율, 경기 둔화, 주 고객의 구매력 감소 및 소비 패턴의 변화 등 면세 시장에는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