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 인도네시아 장관단 초청...보건의료사업 협력 강화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5-26 16:31:59
  • -
  • +
  • 인쇄

대웅제약이 인도네시아 장관단을 초청해 협력관계를 다지고, 현지 사업에서의 정부 지원을 약속 받았다.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은 지난 25일 루훗 빈사르 판자이탄 인도네시아 해양·투자조정부 장관과 부디 구나디 사디킨 보건부 장관이 대웅제약 용인 R&D센터를 방문했다고 26일 밝혔다.
 

▲ (왼쪽부터) 루훗 빈사르 판자이탄 인도네시아 해양·투자조정부 장관,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 부디 구나디 사디킨 인도네시아 보건부 장관 [사진=대웅제약 제공]



대웅제약 측에서는 전승호 대표와 박현진 글로벌본부장 등이 방문단을 맞이했다.

이번 방문은 인도네시아 보건의료사업에서 양자의 협력을 위해 기획됐다. 이날 인도네시아 방문단은 R&D센터 대회의실에서 대웅제약의 현지 사업계획을 청취하고, 호이스타, 니클로사마이드 제제 등 코로나 치료제를 비롯해 줄기세포 개발 등의 혁신신약 연구개발 진행 경과에 매우 큰 관심을 표명했다.

또한 인도네시아에서 대웅제약이 추진 중인 사업과 연구개발에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대웅제약은 지난 2012년 인도네시아에 합작법인 ‘대웅인피온’을 설립한 이후 바이오 의약품 공장과 연구소를 차례로 세우며 현지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대웅제약이 개발 중인 코로나 치료제 임상을 인도네시아 현지에서도 진행하기로 인도네시아 정부 산하 국립보건기술개발원(NIHRD)과 업무협약(MOU)을 맺은 바 있다.

한편, 이날 방문단은 대웅제약에서 근무·실습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출신 직원과 대학생들을 만나 격려하기도 했다.

현재 대웅제약 본사에는 인도네시아 출신 직원들이 다수 근무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도네시아 국립대학교에서 선발된 석사과정 학생들이 ‘제약 연구개발 교육 프로그램(Pharmaceutical R&D Education Program)’을 통해 용인 R&D 센터에서 바이오제제, 개량신약 등 의약품 연구개발 실무 경험을 쌓고 있다.

대웅제약은 앞으로도 인도네시아 제약·바이오 산업을 이끌어갈 차세대 리더를 육성하고 우수한 글로벌 인재를 유치할 계획이다.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접견을 통해 제약 사업과 연구개발에 대한 대웅제약과 인도네시아 정부의 방향이 상당 부분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대웅제약은 인도네시아에서 진행 중인 사업들과 연구개발, 산학연계 프로그램에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인도네시아 정부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루훗 인도네시아 해양·투자조정부 장관은 “대웅제약이 더 적극적인 사업을 펼친다면 인도네시아 바이오 산업도 큰 성장을 거둘 것이다”이라며 “대웅제약이 인도네시아에서 하고자 하는 모든 일에서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LG헬로비전, 3분기 영업익 90억원…전년比 172.8↑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헬로비전은 잠정 영업실적 공시를 통해 2025년 3분기 영업수익(매출) 2985억원, 영업이익 90억원, 당기순이익 20억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영업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248억 원(7.7%↓), 전 분기 대비 556억원(15.7%↓) 하락했다. 이는 일회성 교육청 단말 사업이 빠지면서 매출이 일시적으로 감소한 영향이다

2

한국투자증권, 빗썸 고객 대상 GWM Wealth 컨퍼런스 개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한국금융지주 자회사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4일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 고객을 대상으로 GWM Wealth 컨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초고액 자산가를 위한 한국투자증권의 종합 투자전략 컨설팅 전문 조직인 GWM(Global Wealth Management)이 지난 10월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하는 행사다. 이번 컨퍼런스는 빗썸에서

3

LG유플러스, 3분기 영업익 1617억원…전년比 34.3%↓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유플러스는 2025년 3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수익 4조108억원, 서비스수익(영업수익에서 단말수익을 제외한 매출) 3조1166억원, 영업이익 1617억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영업수익과 서비스수익은 모바일 부문의 성장세에 힘입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5.5%, 4.2% 늘어났다. 또한 전사 AI Agent 확산 적용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