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美 박람회서 수소전기트럭 트랙터 공개

이석호 / 기사승인 : 2023-05-03 16:37:21
  • -
  • +
  • 인쇄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현대차가 지난 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시에서 열린 북미 최대 친환경 운송수단 박람회 'ACT 엑스포 2023'에 참가해 '엑시언트 수소트럭 트랙터'의 양상형 모델을 공개했다고 3일 밝혔다.

 

▲ 현대차가 ACT 엑스포 2023에서 전시한 수소연료전지시스템과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트랙터 모델 [사진=현대차]


현대차는 이번 박람회에서 북미 친환경 상용차 시장 공략 방향에 대해서도 공유했다.

이번에 공개된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트랙터는 장거리 운행이 많은 북미 지역 특성에 맞춰 개발된 총중량 37.2톤급의 6x4 대형 트럭이다.

180kW급 수소연료전지시스템과 최고 출력 350kW급 구동 모터가 탑재됐고, 1회 충전 시 최대 적재 상태에서 720km 이상 주행이 가능한 모델이다.

현대차는 2일 보도 발표회에서 수소 공급, 리스 및 파이낸싱, 플릿 운영 등을 아우르는 '수소 가치사슬' 구축이 북미 친환경 상용차 사업의 핵심이자 미래 비전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고객사들이 각 사업에 최적화된 수소 모빌리티 통합 솔루션을 도입할 수 있도록 현지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지난 2021년 '캘리포니아 항만 친환경 트럭 도입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했던 현대글로비스와 맥쿼리 등과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북미 친환경 상용차 사업을 지속적으로 구체화하고 고도화하는 노력도 이어간다.

이를 위해 미국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에 들어설 전기차 신공장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신규 사업 테스트베드로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 현대차가 ACT 엑스포 2023에서 전시한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트랙터 모델 [사진=현대차]


현대차는 HMGMA 내 수소전기트럭을 중심으로 '친환경 완성차 물류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현대차 글로벌상용&수소연료전지사업담당 켄 라미레즈 부사장은 "수소는 친환경 모빌리티와 함께 지속가능한 사회를 가능하게 하며, '인류를 위한 진보'라는 비전 실현을 위한 가장 강력하고 실용적인 해결책 중 하나라고 굳게 믿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은 3년간 누적 650만km 이상 주행거리를 기록해 글로벌 고객들의 신뢰를 얻고 있다"면서 "상업용 차량뿐만 아니라 해양 선박, 항공 모빌리티까지 연료전지 기술을 광범위하게 적용해 생산부터 저장, 운송에 이르는 통합 수소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