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진천·음성공장에도 증설 등에 약 1700억 투입
한화솔루션이 태양광 소재 사업 강화를 위해 GS그룹과 합작사를 설립하는 등 국내에만 총 7617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전 세계적인 재생에너지 시장 확대에 대응하고, 국내에서 고출력의 태양광 핵심 제품 생산기반도 확보하겠다는 취지다.
![]() |
| ▲ 한화솔루션 제공 |
한화솔루션은 자사 케미칼 부문이 GS에너지와 손잡고 태양광 모듈용 시트(sheet)의 핵심 소재인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를 생산하는 합작회사를 전남 여수산업단지에 설립한다고 7일 밝혔다.
이날 공시에 따르면, 양사는 내년 상반기 중 합작회사인 에이치앤지케미칼(H&G Chemical)을 설립하기 위해 총 2360억 원을 출자하기로 했다. 지분 구조는 한화솔루션 51%, GS에너지 49%로 이뤄진다. 한화솔루션의 현금 출자액은 약 1204억 원이다.
에이치앤지케미칼은 한화솔루션이 지난 50년간 축적한 소재 생산 역량과 GS에너지 자회사인 GS칼텍스의 경쟁력 있는 원료를 활용해 단기간에 '글로벌 톱-티어 EVA 제조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목표다.
한화솔루션은 양사가 에이치앤지케미칼에 총 5900억 원을 투자해 오는 2025년 9월부터 연산 30만 톤을 목표로 EVA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화솔루션 첨단소재 부문 등 EVA 시트를 생산하는 글로벌 태양광 부품 업체들은 이 소재를 활용해 제품을 공급한다. EVA 시트는 태양광 셀의 성능을 유지하는 핵심 자재다.
첨단소재 부문도 이에 맞춰 충북 음성에 약 417억 원을 투자해 EVA 시트 생산라인을 증설한다.
한화솔루션은 지난해 기준으로 글로벌 EV 시장이 연간 440만 톤 규모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주요 국가의 탄소중립 정책 확대에 따라 태양광용 시트의 수요가 늘면서 연평균 5.6%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합작회사를 통해 한화솔루션을 포함한 한화그룹의 EVA 생산능력은 총 92만 톤으로 늘어나 미국의 '엑손모빌(79만 톤)'을 제치고 글로벌 1위 EVA 생산업체로 올라설 전망이다.
![]() |
| ▲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 [사진=한화 제공] |
한화솔루션 큐셀 부문도 충북 진천공장에 고효율의 탑콘 기반 셀과 대형 웨이퍼(M10)를 활용한 모듈 생산라인을 설치하는 데 약 1300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탑콘은 셀에 얇은 산화막을 삽입해 기존보다 발전 효율을 약 1%포인트 높인 고효율 제품이다.
한화솔루션 진천공장에서는 고출력의 제품 생산을 위해 기존의 M6(16.6㎝ x 16.6㎝) 웨이퍼를 면적이 큰 M10(18.2㎝ x 18.2㎝)으로 대체하기 위한 라인 전환도 이뤄진다.
한화솔루션은 탑콘 셀의 생산을 늘리면서 차세대 소재인 페로브스카이트 기반의 탠덤 셀의 연구와 양산을 위한 투자도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또 국내 R&D 역량을 강화하고, 최신 생산시설 구축을 통해 한국을 태양광 사업의 글로벌 핵심 기지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한화솔루션 관계자는 "전 세계적인 재생에너지 시장의 확대에 맞춰 석유화학 기술에 기반한 태양광 소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국내 R&D에도 지속적으로 투자해 미래 에너지 기술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