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 컨소시엄 구성 호주 퀸즐랜드 주정부와 그린수소 업무 협약

황동현 / 기사승인 : 2022-09-23 23:12:45
  • -
  • +
  • 인쇄
호주 그린수소 사업 파일럿 프로젝트에 출자...다양한 금융 솔루션 제공

신한은행이 그린수소 사업 파일럿 프로젝트에 출자해 다양한 금융 솔루션 지원에 나선다. 한국중부발전, LS일렉트릭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호주 퀸즐랜드 주정부와 그린수소 생산사업 공동추진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향후에도 ESG 관련 금융 지원을 지속해 ESG 경영과 탄소 중립 실천에 앞장선다는 방침이다. 


신한은행(은행장 진옥동)이 한국중부발전, LS일렉트릭, 이지스자산운용, 일렉시드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호주 퀸즐랜드 주정부와 그린수소 양산 파일럿 프로젝트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 지난 19일 서울시 마포구 소재 한국중부발전 서울발전본부에서 진행된 업무협약식에서 (왼쪽부터) LS일렉트릭 이충희 상무, 신한은행 이정우 본부장, 일렉시드 이규홍 대표, 호주 퀸즐랜드 주 캐머런 딕 투자무역재무장관, 한국중부발전 박경우 해외사업처장, 이지스자산운용 정석우 대표가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신한은행 제공]

신한은행이 참여한 컨소시엄과 호주 퀸즐랜드 주정부는 이번 업무협약으로 2000만 호주달러(약 186억원) 규모로 퀸즐랜드 지역에서 ‘H-REP(수소 재생에너지 파크)’ 파일럿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

‘H-REP’은 3MW(메가와트)급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고, 이 전력으로 그린수소 생산에 필요한 수전해 설비를 운영해 하루 300Kg의 그린수소를 생산할 예정이다. 이후 생산된 그린수소를 현지 수요처에 전량 판매하며 그린수소 사업에 대한 실증을 진행한다.

신한은행은 이 파일럿 프로젝트에 대한 출자를 진행하고, 향후 실증화 단계에서 금융 자문, 주선, 선순위 대출 등 금융 솔루션을 제공해 사업 개발 및 확장이 안정적으로 이뤄지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번 업무협약으로 미래 에너지원의 한 축인 수소 경제를 이행하며 청정 수소 생산 유망 국가인 호주 시장 개척을 컨소시엄과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며 “앞으로도 ESG 관련 금융 지원을 지속해 ESG 경영과 탄소 중립 실천에 앞장서는 은행이 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신한은행은 국내 금융 최초로 글로벌 그린수소 사업 펀드에 투자하고,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택소노미) 가이드라인에 부합하는 기후기술, 친환경분야 중소벤처기업에 투자하는 ESG전략펀드 조성에 참여하는 등 기후금융과 탄소중립을 실천하며 녹색 금융을 선도하고 있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 ‘더핫 열라면’ 출시 3주 만에 200만개 판매 돌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뚜기는 지역상생 가치를 반영한 신제품 ‘더핫 열라면’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200만 개를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핫 열라면’은 인구소멸 위기지역인 경상북도 영양군과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지역 특산물인 ‘영양고추’를 담아낸 제품이다. 기존 ‘열라면’보다 약 1.5배 매워진 강렬한 맵기와 깔끔한 뒷맛으로 소비자들의

2

bhc, 9월에도 T멤버십 할인 쿠폰 증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다이닝브랜즈그룹의 치킨 브랜드 bhc가 SK텔레콤의 멤버십 서비스 ‘T멤버십 상시 제휴 브랜드’로서, 9월에도 고객들에게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이어간다. bhc는 고객에게 합리적인 가격 혜택을 제공하고 가맹점에는 수수료 부담 없는 자사 앱 주문 확대를 지원하고자 T멤버십과 협력해 상시 할인 혜택을 운영하고 있다. 동일 카테고리 내

3

KT&G복지재단, 사회복지기관 대상 경차 150대 전달
[메가경제=정호 기자] KT&G복지재단이 지난 16일 군포시가야종합사회복지관에서 ‘2025 사회복지기관 차량 전달식’을 갖고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경차 150대를 지원했다. KT&G복지재단은 전국 복지기관들의 원활한 현장 업무를 위해 2004년부터 기동성이 뛰어난 경차를 지원해 왔다. 올해는 전국적인 복지 수요자 증가로 인한 업무차량 부족 문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