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작년 고강도 부동산 규제가 잇따르며 서울아파트 분양권 거래량이 전년의 5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7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2018년 1∼12월 서울아파트 분양권 거래 건수는 1238건이었다. 이는 2017년 연간 거래량 6061건의 20.4%다.
서울아파트 분양권은 2017년 5월만 해도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최대치인 1122건이 거래될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사진= 연합뉴스]](/news/data/20190107/p179565844173766_712.jpg)
하지만 정부가 과열된 부동산 시장을 잡기 위해 잇따라 강력한 부동산 규제 정책을 내놓으면서 분양권 거래시장도 빠르게 식었다.
지난해 9·13 부동산 대책에서는 분양권 소유자를 무주택자에서 제외했다.
기존엔 청약 당첨 후 입주 전에 전매할 때에는 주택을 소유한 것으로 보지 않아 무주택 기간을 계속 인정해왔지만, 앞으로는 일단 분양권을 취득하면 입주하지 않았어도 주택을 소유한 것으로 간주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분양권 소유자의 청약 당첨 확률이 크게 낮아졌고 대출에서도 제한을 받게 되면서 분양권 거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올해 역시 이러한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1월 신규 아파트 공급량이 지난해보다 뜸해질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고 있다. 건설사들은 정부의 3기 신도시 발표와 9·13대책에 따른 분위기 변화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7일 부동산 정보서비스 직방에 따르면 1월 전국에 등장하는 일반분양은 20개 단지 1만3592가구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약 18% 줄어든다.
직방 함영진 빅데이터랩장은 "전매·대출·세제 규정이 강화되고 위반 시 처벌 조항도 세진 데다가 서울 등 인기 지역에서는 가격에 대한 부담감, 피로감이 커져 분양시장이 '닫힌 시장'으로 변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분양시장은 정부 정책에 따라 움직이는 특성을 지니는데 올해는 정부의 규제가 계속되는 가운데 시장의 유동성이 더 떨어질 전망이어서 지난해보다도 악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