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바뀌는 것] 세법시행령 개정 이후의 부동산 보유세, 어떻게?(부동산 분야)

강한결 / 기사승인 : 2019-01-09 10:22:17
  • -
  • +
  • 인쇄

[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9·13 부동산 대책을 보완하기 위해 주택 양도세 비과세 요건과 종합부동산세 감면 요건을 강화하는 후속조치를 내놨다.


지난 7일 기획재정부는 이 같은 내용의 '2018년 세법 후속 시행령 개정안'을 발표했다. 후속 시행령 개정안에 따르면 공동소유주택의 경우 공동소유자 각자가 그 주택을 소유한 것으로 본다.


[사진= 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다만, 상속을 통해 공동소유한 주택은 6월 1일 기준 지분율이 20% 이하이면서 지분 상당 공시가격이 3억원 이하면 주택 수 계산에서 제외한다.


주택 및 토지에 대한 공정시장가액비율은 현행 80%에서 올해 85%, 내년 90%, 2021년 95%, 2022년 100%로 상향조정된다.


1세대 1주택 공제(9억원) 여부 판단 시에는 공동소유주택은 종전처럼 주택 수에 포함한다. 1세대 1주택은 9억원이 공제되고 공동명의로 하면 12억원이 공제된다. 공제금액에 차이가 있어서 주택가격이 일정 수준일 경우 공동소유하는 것이 유리하다.


2021년 이후 1가구 1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받으려면 다주택을 보유한 기간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1주택만 보유하게 된 날로부터 2년이 지나야 한다.


다가구주택은 분할등기가 되지 않아 하나의 주택으로 본다. 합산배제 임대주택, 합산배제 사원용 주택 등은 주택 수에서 제외한다. 다세대주택은 구분등기한 각각의 주택을 1주택으로 계산한다. 1가구 1주택 양도세 비과세 보유기간 요건은 강화된다.


현재 기준으로는 1가구가 양도일 현재 국내에 1주택을 보유하고 있기만 하면, 보유 기간이 취득일부터 2년 이상 지난 경우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장기주택 임대사업자가 2년 이상 본인이 거주한 주택을 양도할 때 1가구 1주택으로 봐서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주던 것도, 그동안 횟수에 제한이 없었지만, 개정안이 시행일 이후 취득분부터는 처음 1차례만 허용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KGM, 3분기 연속 흑자 달성…역대 최대 매출 기록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KG 모빌리티(이하 KGM)가 2025년 3분기 판매 2만9,116대 매출 1조1,889억 원 영업이익 30억 원 당기순이익 105억 원을 기록하며 3분기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고 29일 밝혔다.이번 실적은 무쏘 EV와 토레스 하이브리드 등 신차 글로벌 론칭 확대와 수출 물량 증가, 환율 효과 등에 힘입은 결과다. 3분기 및 3분기

2

노태그코리아, ‘818 BLOOM’ 신드룸 행진... 동남아 주요 8개국 완판
[메가경제=전창민 기자]지드래곤의 시드니처 블록 굿즈 ‘818 BLOOM’의 완판 신드롬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에 이어 동남아시아 주요 8개국에서도 완판됐다. ‘818 BLOOM’은 지드래곤의 브랜드 피스마이너스원(PEACEMINUSONE)과 완구 전문기업 옥스퍼드(OXFORD)가 협업해 제작한 제품으로, 꽃을 형상화한 디자인 속에 ‘평화’의 메시지를 담

3

현대해상, 아이마음 탐사대 프로젝트 'SPACE 0' 단계 돌입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해상은 '아이마음 탐사대' 프로젝트를 수행할 팀 선정을 완료했다고 29일 밝혔다. '아이마음 탐사대'는 '우리는 어떻게 아동 발달 문제를 혁신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란 질문으로 시작된 프로젝트로, 발달지연 및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조기개입 솔루션을 찾아 나선다. 지난 6월부터 두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