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이슈] 강남구와 강북구 재산세 무려 14배 '차이 더 커졌다'

오철민 / 기사승인 : 2019-07-14 22:49:55
  • -
  • +
  • 인쇄
강남 3구가 서울시 전체 37.6% 재산세 차지
강서구 증가율 최고, 강동구는 유일하게 감소

[메가경제 오철민 기자] 강남구와 강북구의 재산세 차이가 약 14배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의 13배보다 격차가 더 벌어졌다.


서울시는 올해 주택 및 건물 재산세가 1조 7천986억 원이라고 14일 밝혔다. 재산세 총액은 지난해(1조 6천 138억원)보다 11%(1천848억 원) 증가했다.


시는 이에 대한 고지서 440만 건을 지난 10일 우편으로 발송했다. 납부 기한은 오는 31일까지이며 납부기한을 넘기면 3%의 가산금이 붙는다.


올해 건물 재산세도 역시 강남·서초·송파의 강남 3구가 월등히 많았다. 강남 3구에 부과된 재산세는 총 6770억 원으로 서울시 25개 자치구 재산세의 37.6%를 차지했다.


강남구가 2962억 원(16.5%)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서초구 1944억 원(10.8%), 송파구 1864억 원(10.4%) 순이다. 서울시 자치구 중 강남 3구만 재산세가 1000억 원을 넘는다.


 


[사진= 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반면 재산세를 가장 적게 내는 구는 강북구로 213억 원(1.2%)에 불과하고 그 다음은 도봉구 244억 원(1.4%), 중랑구가 279억 원(1.6%)이었다.


지난해 동기 대비 자치구별 재산세 증가율은 강서구가 22.8%(177억 원)로 가장 컸다. 대한항공 본사가 있는 강서구는 항공기에 대한 재산세 감면 배제 규정이 신설된 때문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강서구에 이어 송파구가 18.4%(290억 원) 증가로 그 뒤를 이었다. 송파구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 헬리오시티(9천510세대) 입주가 마무리된 영향이 컸다.


대규모 아파트 단지인 둔촌주공이 재건축에 들어간 강동구는 서울에서 유일하게 재산세가 0.2%(1억 원) 감소했다.


재산세는 주택·건물 소유자를 대상으로 매년 7월과 9월에 부과된다. 7월에는 주택 50%, 건물, 선박, 항공기가 과세 대상이다. 9월에는 나머지 주택 50%와 토지에 과세한다.


이번에 부과된 주택 및 건물 재산세 건수는 지난해보다 21만 3천(5.1%) 건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공동주택이 17만5천(6.2%) 건, 단독주택이 1만3천(2.6%) 건, 비주거용 건물이 2만5천(2.8%) 건 증가했다. 주택 재개발·재건축과 오피스텔 등의 신축에 따른 것이다.


올해 재산세 총액이 11%나 증가한 것은 과세대상이 양적으로 많아진 데다 재산세 과세표준이 되는 주택 공시가격 및 시가표준액이 공동주택 14.0%, 단독주택 13.9%, 비주거용 건물 2.9%씩 각각 늘어났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자치구 간 재정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올해 징수하는 재산세 중 1조 3636억 원을 '공동재산세'로 25개 자치구에 545억 원씩 균등하게 배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